고용정보원 조사, 대학·성별보다 전공이 중요

 

[오피니언타임스] 여성과 비수도권 대졸자의 취업장벽이 점차 허물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졸 남성이 대졸 여성보다, 수도권 대졸자가 비수도권 대졸자보다 취업 가능성이 높다’는 통념은 이제 옛말이 된 셈이다.

고용정보원은 대졸자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성별과 대학소재지는 취업가능성에 차이가 없었다고 6일 밝혔다.

연구진은 대졸자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달라졌는지 알아보기 위해 2005년과 2012년 대졸자의 특성별 취업 경험을 비교분석했다.

연구에 따르면 2005년 대졸자에서는 남성의 취업가능성이 여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지만, 2012년 대졸자에서는 성별에 따른 취업가능성에 차이가 없었다.

실제 2005년 대졸자에서는 남성의 취업경험률이 10% 가까이 높았지만 2012년에는 남성 78.3% 여성 76.9%로 큰 차이가 없었다.

여성 차별예방 고용정책 효과와 결혼보다 취업 선호여성 대졸자의 적극적인 구직 노력 등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대학소재지별 비교·분석에서도 과거에는 수도권 출신자가 비수도권 출신자에 비해 취업경험 확률이 약 9.4% 높았지만 2012년에는 수도권 출신자가 별다른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학교유형과 전공 계열은 취업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줬다. 4년제 졸업자보다 전문대 졸업자, 인문계 졸업자보다 사회·공학·의약계 졸업자의 취업가능성이 2005년에 이어 2012년에도 계속 높게 나왔다.

특히 2005년에는 인문계와 예체능계 졸업자의 취업가능성이 별 차이가 없었지만, 2012년에는 인문계의 취업가능성이 예체능보다 더 낮았다. 인문계가 다른 계열에 비해 더 취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이밖에 부모와 한 집에서 사는 대졸자는 그렇지 않은 대졸자에 비해 취업가능성이 높았고, 반면에 교육 수준이 높은 부모를 둔 대졸자일수록 취업가능성이 더 낮게 나왔다.

고학력 부모 밑에서 대학을 다닌 자녀의 경우 부모 경제력을 바탕으로 졸업 후에도 괜찮은 직장에 들어가려고 더 오래 취업 준비를 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박가열 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예전에는 ‘남성이냐 여성이냐, 수도권 대학이냐 비수도권 대학이냐’가 취업하는데 중요했지만, 구직자 능력 이외의 요인들이 취업을 결정했던 관행들이 이제는 점점 사라지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흐름이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 지속가능한 채용문화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기업을 비롯한 우리 사회가 능력중심의 공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칼럼으로 세상을 바꾼다.
논객닷컴은 다양한 의견과 자유로운 논쟁이 오고가는 열린 광장입니다.
본 칼럼은 필자 개인 의견으로 본지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론(nongaek34567@daum.net)도 보장합니다.
저작권자 © 논객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