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인의 눈으로 본 한류]

 

한류가 아시아를 넘어 전세계로 확산되고 있다.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에서도 K-pop이 인기를 얻으면서 새로운 한류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이에 프랑스 현지에서 프랑스인이 본 한류의 현장과 의미를 연재한다.

필자 스테판 쿠랄레는 INALCO(파리 동양문화언어대학교)에서 ‘한국 국가 이미지 연구’ 논문으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EHESS(파리 사회과학연구소)에서 언어학 박사를 취득했다. 현재 보르도 몽테뉴 대학(ubM)에서 한국학과장 부교수로 한국어를 강의하고 있다. 

유난히 비가 많이 내리던 서울에서 택시를 탄 적이 있다. 내가 프랑스인임을 알게 된 기사 아저씨는 구수한 사투리로 내게 물었다. “프랑스 사람들은 바캉스도 많고 일도 많이 안 한다카던데 뭐 묵고 삽니꺼?

나는 이렇게 대답했다. “우리 할아버지는 항상 우리에게 ‘프랑스에는 석유가 안 나니까 아이디어를 많이 내야 한다’고 말씀하셨어요. 이 아이디어 덕분에 먹고 살지요. 한국 아주머니들이 저렇게 많이 들고 다니는 루이비통, 샤넬… 이런 거 다 프랑스 거잖아요.”

물론 외국인들이 프랑스에 대해 갖는 ‘예술의 나라’ 또는 ‘명품의 나라’라는 일반적 환상에 부응하는, 극히 단순하면서 웃자고 한 대답이지만 일부는 진실이다.

“우리는 밤낮 이렇게 열심히 일해도 묵고 살기가 힘들어 죽겠는데… 참, 희안하네예…” 나의 대답이 시원찮았던지 아저씨는 말끝을 흐렸다.

©픽사베이

아무튼 프랑스 사람들이 바캉스를 중요시한다는 사실은 한국의 택시 기사 아저씨까지 알고 있을 정도로 유명한 얘기가 되었나보다. 여름이 되면 파리 사람들은 파리를 관광객들에게 내주고 어디론가 바캉스를 떠난다. 민족의 대이동이 일어나는 한국의 추석이나 설을 생각해보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자기의 생활권을 비워놓고 떠났다가 초가을에 다시 돌아오는 것이다. 형편이 어려워 바캉스를 떠나기 어려운 가정의 아이들을 위해 국가가 보조를 하기도 한다.

보통 한국에 있는 학생들(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에게 “바캉스 때 뭐하니?”라는 질문을 하면 “공부해야죠”라는 대답과 함께 무슨 그런 쓸데없는 질문을 하냐는 식의 눈빛만 돌아오곤 한다. ‘바캉스(vacances)’ 라는 말의 어원은 ‘비어있다’는 뜻의 라틴어 ‘바카레(vacare)’이다. 비움의 시간이라고 할까 ? 한국말 ‘방학’ 의 ‘방(放)’ 자도 ‘놓다’라는 뜻이니까 ‘공부를 놓다’가 되는데 그 기간에 도리어 공부를 더 잡아야 하다니…

언젠가 유능한 어느 한국 음악가에게서 들은 말이 생각이 난다. 음악을 하는 한국 학생들의 테크닉은 끝없는 연습 덕분에 세계적으로 타의 추종을 불허하지만 그래도 유럽이나 미국으로 음악을 공부하러 오는 이유는 ‘감성’을 깨우기 위해서라고 했다. 그러면 한국에선 왜 ‘감성’이 잠을 자고 있는 걸까 ?

예술에 ‘여백의 미’라는 게 있다. 아무것도 하지 않고 하늘을 쳐다볼 수 있는 여유가 없으면 번뜩이는 아이디어는 나오지 않는다. 특히 ‘감성’에 호소해야 하는 분야에 있어서는…그리고 대부분의 미래 산업은 감성으로 승부를 가른다는 것 또한 이미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프랑스사람 아니랄까봐 ‘바캉스 예찬론’을 펼치냐고 반문하는 독자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 인간에게 ‘비움’이나 ‘놓음’의 시간이 없으면 채울 수도 잡을 수도 없지 않을까 ?

©픽사베이

프랑스어 원문

J’ai pris le taxi à Séoul, où il a plu des cordes. Le chauffeur, qui a vu que j’étais Français, m’a demandé, avec son accent délicieux : « ‘paraît que les Français ont beaucoup de vacances… et qu’ils ne travaillent pas tant que ça. Ils vivent de quoi alors ? »

Je lui ai répondu : « vous savez, mon grand-père nous disait souvent qu’en France, comme on n’a pas de pétrole, on doit avoir des idées. On vit grâce à ça aujourd’hui. Tenez, ouvrez les yeux et observez autour de vous toutes ces femmes avec leur sac Louis Vuitton, Channel… tout cela c’est F.R.A.N.Ç.A.I.S.… cocorico !

Bien sûr, c’est une réponse simpliste visant à entretenir l’image que se font les Etrangers de nous, eux qui considèrent la France comme le pays « des arts » ou « des produits de luxe ». Je voulais plaisanter un peu même s’il y a un fond de vérité.

« Nous, en travaillant jour et nuit, on arrive à peine à s’en sortir… ça alors, vous êtes vraiment curieux vous les Français… » marmonnait le chauffeur visiblement peu convaincu par ma réponse.

Les vacances des Français, voilà un thème qui a dû marquer les esprits ici pour qu’un chauffeur de taxi coréen soit aussi bien informé. Quand vient l’été à Paris, les Parisiens abandonnent leur ville aux touristes et partent en vacances. A titre d’exemple, ce flux de vacanciers doit correspondre à celui de la période de Chuseok ou du nouvel an en Corée. On quitte son train-train quotidien pour le reprendre au début de l’automne. L’Etat français propose aussi des aides aux familles défavorisées pour que les enfants en particulier goûtent au plaisir des départs en vacances.

Par contre, si par mégarde, il vous arrive de demander à un collégien ou à un lycéen coréen « que fais-tu pendant les vacances ? », ne soyez pas surpris qu’il prenne un malin plaisir à vous montrer combien la réponse relève de l’évidence : « Ben… je travaille, quoi ! ».

Selon l’étymologie, le mot vacance vient du latin vacare qui signifie « être absent de ». S’agit-il du temps nécessaire pour faire le vide ? Pourquoi pas ? En coréen, le mot banghak contient le caractère chinois ’放’ ’bang’ qui signifie ‘relâcher’ donc banghak signifierait mot-à-mot « relâcher les études ». Pourtant, c’est plutôt le contraire qui se produit et cette période est souvent exploitée pour travailler encore davantage…

Un musicien coréen m’a un jour expliqué que la technique des musiciens coréens était, selon lui, très appréciée grâce à leur entraînement extrêmement rigoureux. Mais pour quelles raisons alors ces étudiants viendraient-ils en Europe ou aux Etats-Unis pour compléter leurs études ? D’après lui, c’est dans le but principal de « réveiller » l’émotion qui sommeille en eux. L’émotion des musiciens du pays du matin calme serait-elle restée endormie ?

Dans l’art extrême-oriental, on a coutume de dire que « la beauté réside dans l’espace vide ». Sans prendre le temps de tout abandonner pour contempler le ciel, aucune idée de génie ne pourrait germer. Surtout dans les domaines qui se nourrissent essentiellement de l’émotion… on dit même que la plupart des industries du futur dépendent étroitement de ce facteur capital : l’émotion.

On pourrait me reprocher de faire ici l’éloge des vacances, moi, un Français. Mais sans ce temps « vide » pour décompresser, comment pourrait-on profiter ou encore remplir notre vie de ce qui nous paraît essentiel ?

 스테판 쿠랄레(Stéphane COURALET)

  프랑스 몽테뉴대학 한국학과장 부교수

  저서 ‘한국어에 있어서의 집단 인칭, 우리’ 외 다수 

 

오피니언타임스은 다양한 의견과 자유로운 논쟁이 오고가는 열린 광장입니다. 본 칼럼은 필자 개인 의견으로 본지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칼럼으로 세상을 바꾼다.
논객닷컴은 다양한 의견과 자유로운 논쟁이 오고가는 열린 광장입니다.
본 칼럼은 필자 개인 의견으로 본지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론(nongaek34567@daum.net)도 보장합니다.
저작권자 © 논객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