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인의 눈으로 본 한류]

한류가 아시아를 넘어 전세계로 확산되고 있다.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에서도 K-pop이 인기를 얻으면서 새로운 한류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이에 프랑스 현지에서 프랑스인이 본 한류의 현장과 의미를 연재한다.

필자 스테판 쿠랄레는 INALCO(파리 동양문화언어대학교)에서 ‘한국 국가 이미지 연구’ 논문으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EHESS(파리 사회과학연구소)에서 언어학 박사를 취득했다. 현재 보르도 몽테뉴 대학(ubM)에서 한국학과장 부교수로 한국어를 강의하고 있다. 

몇 년 전의 일이다. 어느 한국 기업의 주재원들이 불어를 배우기 위해 현지인 선생님을 찾는데 나에게 이 일을 해 줄 수 있겠냐고 물어왔다. 나는 흔쾌히 하겠다고 대답했다.

그런데 얼마 후 회사 측에서 답이 오기를 가능하면 ‘금발의 여자’를 원한다고 했다. 나는 금발도 여자도 아니므로 해당사항이 없었던 것이었다. “그러면 내 어머니도 할머니이긴 하지만 금발이니 소개시켜 드리겠다”고 하면서 웃었던 기억이 난다.

©픽사베이

금발은 백인을 전제로 하는 말이니 ‘인종차별적’ 요소가 있고, 여자여야 한다는 조건으로 ‘성차별적’ 요소까지 포함된 사건(?)이었다.

최근 케이팝 공연장에서 여러 팬들과 인터뷰를 하면서 많은 얘기를 나눌 기회가 있었다. 그들이 느끼는 한국인은 어떤지가 궁금했다. 그 중 한 여학생은 특정 케이팝 가수를 중심으로 하는 팬카페에서 한국인 팬들과 교류를 하는데, 어느 순간 ‘무슨 색깔의 인종’인지를 물어오더란다.

그야말로 ‘금발’의 이 여학생은 너무 충격을 받아 그 카페와 교류를 끊었단다. 세계를 향해 가장 열려있는 사람들일 것이라 생각했던 한국인이 ‘인종차별적 성향이 강한’ 사람들로 인식되었던 가슴 아픈 기억이라고 했다.

또 최근에는 어느 케이팝 그룹이 태국에 가서 상식을 벗어난 불손한 태도로 인터뷰에 임했던 동영상이 인터넷을 떠돌며 비판의 대상이 되는 것을 보았다. 이를 본 많은 한국 네티즌들은 태국이 한국에 비해 경제적 레벨이 떨어지는 나라여서 은근히 무시하는 태도가 자신들도 모르게 드러난 것이라며 케이팝 아이돌들의 인성과 소양 교육을 강조하기도 했다.

여기서 우리가 생각해 보아야 할 문제는 단순히 케이팝 아이돌 또는 그 팬들의 소양 교육이 아닌듯 하다. 사람의 경제적 능력 또는 학벌 따위의 기준으로 사람을 서열화하거나 나보다 못해 보이면 쉽게 무시하는 태도가 한국 사회 내에서 일반화되지는 않았는지 살펴볼 일이다.

이런 정서가 만연되어 있다면 당연히 세계 무대에서도 사람의 피부색에 따라, 또는 그 나라의 경제적 수준에 따라 태도를 달리하는 부끄러운 모습이 나올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말하자면 한국인의 의식 깊숙이 자리잡은 타인에 대한 가치관을 성찰해 볼 일이라는 것이다.

나는 보통 프랑스 인터넷 또는 신문 지상으로 한국에 관한 소식을 접한다. 그러나 한국어를 배우는 우리 학생들이나 한국에 관심이 많은 젊은이들은 한국 TV나 인터넷을 통해 직접적으로 한국 대중문화의 콘텐츠를 대한다.

그러니 한국인의 타문화에 대한 비하나 인종차별적 태도가 조금이라도 비치면 그 충격 또한 직접적일 수 밖에 없고, 또 논란의 중심에 설 수 밖에 없게 된다. 그리고 그것은 결국 한국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로 연결되는 것이다.

문화강국의 힘은 타문화의 수용력에 있다. 타문화를 자국의 문화만큼 존중하는 자세가 바로 문화적 힘일 것이다. ‘한류’라는 파도는 몰려왔다 몰려가는 일시적인 현상일 수 있지만, 그 파도를 일으킨 ‘한국’이라는 나라가 푸르고 아름다운 대양으로 세계 무대에 남으려면 세계를 품을 수 있는 포용력과 진정성을 키워 나가야 할 것이다.[오피니언타임스=스테판쿠랄레]

지난 3월21일 ‘세계인종차별철폐의 날’을 맞아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노동단체 관계자들이 인종차별에 반대하는 손팻말을 들고 있다. ©포커스뉴스

프랑스어 원문

Il y a quelques années, j’ai été contacté par une entreprise coréenne qui recherchait pour ses expatriés en France un enseignant natif pour des cours de français. J’ai répondu que je me chargerai avec plaisir de cet enseignement. Mais quelque temps plus tard, j’ai appris que cette société souhaitait recruter une enseignante, blonde de préférence. N’étant ni blond, ni de sexe féminin, mon profil ne correspondait plus aux critères de sélection. Je me souviens alors avoir beaucoup ri en me consolant ainsi : « Dans ce cas, je vais présenter ma mère ! Bien que grand-mère, au moins elle est blonde ! ». « Blonde » cela sous-entend « femme blanche », autrement dit, c’est de la « discrimination raciale ». De plus, imposer le sexe du candidat pour ce type de travail traduit une attitude pour le moins sexiste.

En faisant récemment quelques interviews durant le concert de K-pop, j’ai eu l’occasion de discuter avec beaucoup de jeunes. J’étais curieux de savoir quelle vision ils partageaient de la Corée et des Coréens. Parmi ces jeunes, j’ai rencontré une étudiante qui a ouvert un fan-café (un fan club sur internet) en l’honneur de son groupe préféré et qui communiquait régulièrement avec d’autres fans coréens jusqu’au jour où l’un d’entre eux, ayant appris qu’elle était française, lui posa la question suivante : « tu es de quelle couleur ? ». Choquée, elle décida d’interrompre tout échange sur ce fan-café. Pour elle qui voyait les Coréens comme les personnes les plus ouvertes au monde, imaginer l’existence chez eux de comportements racistes lui était difficile à supporter.

L’interview d’un groupe de K-pop en Thaïlande a révélé au grand jour cette attitude insensée et pour le moins irrespectueuse. La vidéo diffusée sur internet a fait l’objet de nombreuses critiques. Les nombreux internautes coréens ont ainsi pointé du doigt l’éducation de la culture et la personnalité de ces idoles de K-pop qui ont inconsciemment affiché un comportement méprisant en Thaïlande, pays moins puissant économiquement que la Corée.

Le problème ici ne provient pas simplement de l’éducation de la culture des idoles ou des fans. Il faudrait plutôt se demander si cette fâcheuse tendance à mépriser les autres ou à les catégoriser selon le rang de leur université ou leur pouvoir économique ne contamine pas la société coréenne. Si ce type de mentalité se répand, on risque fort d’assister à de nouvelles réactions aussi méprisables au sujet par exemple, de la couleur de la peau ou de la puissance économique de tel pays. Autrement dit, la question de fond concerne la valeur accordée à l’autre dans la conscience profonde des Coréens.

En général, j’observe les nouvelles à propos de la Corée qui circulent en France dans les journaux et sur Internet. Mais nos étudiants qui apprennent le coréen ou les jeunes qui s’intéressent de plus en plus à la Corée ont un accès direct aux contenus des mass-médias diffusés sur internet ou à la télévision. Aussi, la moindre attitude méprisante à l’égard des autres cultures peut être perçue comme choquante et risque de donner une image négative de la Corée.

La force d’un pays de culture réside justement dans sa capacité à accepter la culture des autres. Respecter la culture des autres autant que la sienne, voilà la véritable grandeur. Pour que la vague coréenne ne soit pas qu’un phénomène passager et pour que la Corée qui en est à l’origine conserve l’image d’un océan au bleu intense, il faudrait étendre son envergure et accroître sa profondeur.

 스테판 쿠랄레(Stéphane COURALET)

  프랑스 몽테뉴대학 한국학과장 부교수

  저서 ‘한국어에 있어서의 집단 인칭, 우리’ 외 다수 

오피니언타임스은 다양한 의견과 자유로운 논쟁이 오고가는 열린 광장입니다. 본 칼럼은 필자 개인 의견으로 본지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칼럼으로 세상을 바꾼다.
논객닷컴은 다양한 의견과 자유로운 논쟁이 오고가는 열린 광장입니다.
본 칼럼은 필자 개인 의견으로 본지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론(nongaek34567@daum.net)도 보장합니다.
저작권자 © 논객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