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기수의 중국이야기]

어디서나 마찬가지겠지만, 중국에서 여러 거래선을 상대하며 장사를 하다보면 상대 회사의 조직이나 인사의 변화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된다. 사람과의 끈끈한 꽌시(關係, 관계)를 중시하는 중국이기 때문에 더 그렇다. 더욱이 회사의 방침이나 정책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최고 경영자의 교체는 향후 거래 관계에 미칠 영향 때문에 우리에게는 초미의 관심사가 아닐 수 없다.

90년대에서 2000년대로 접어들면서 중국의 많은 기업들의 최고 경영자가 교체되었다. 우리의 주요 거래선 중 하나인 산시성(山西省)의 철강그룹도 그 중의 하나였는데, 2000년 말 단행된 이 회사의 인사는 파격적이었다. 이전의 회장이 1942년 생(生)이었는데 새로 발탁된 회장은 1963년 생이었다. 나는 당시 이 회사만의 파격인사로 생각했다.

시진핑 중국 주석(왼쪽)과 마오쩌둥 전 주석의 얼굴을 나란히 배치한 관광 기념품. ©게티이미지/포커스뉴스

새로 발탁된 회장은 당시 잘 나간다는 공청단(共靑團, 중국공산주의 청년단) 출신으로 뒷배경이 엄청나다는 소문이 있었던 사람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후 나는 다른 회사의 사정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상하게도 50년대 생이 눈에 잘 띄질 않았다. 대부분이 40년대 생에서 60년대 생으로 건너뛰고 있었던 것이다. 경영층이 젊어지는 것은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적인 추세이다. 중국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녠칭화(年輕化, 연경화)라고 하는데 나는 처음에, 역시 이런 분야에서도 중국은 앞서 간다라고 생각했다. 물론 이러한 면도 없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잃어버린 10년’인 문화대혁명의 아픈 흔적임을 나는 오래지 않아 알게 되었다.

1966년 장칭(江靑)등 4인방에 의해서 주도되어 중국 대륙을 온통 광란의 열풍에 휩쓸리게 한 문화 대혁명은 1976년 모택동의 사망과 함께 비로소 끝나게 된다. 그 10년 동안의 상흔은 넓은 중국 대륙 구석구석까지 미치지 않은 곳이 없었다. ‘즈칭(知靑, 지청)’이란 말이 있다. 이는 지식청년의 줄임 말로 혁명 10년 동안 홍위병으로 활동하거나 각 지역으로 시아팡(下放, 하방)되었던 남녀 청년들을 일컫는 말이다. 그리고 ‘시아팡’은 노동 체험과 정신 개조를 통해 진정한 사회주의 세계관을 형성하기 위해 도시의 지식 청년들을 농촌이나 산간벽지로 보낸 일을 말한다.

문화혁명이 진행되던 1968년 마오쩌둥은 홍위병과 지식청년들에게 농촌으로 들어가 빈농들의 지휘 하에 노동을 체험하고 정신개조를 실시할 것을 지시했는데 혁명 기간에 1000만 명이 넘는 도시 청년들이 벽지 농촌과 산간 오지로 내려가게 된다. 이들의 생활은 정말 비참했다고 한다. 부족한 식량을 구하기 위하여 구걸하거나 도둑질도 서슴지 않았고 생활고를 이기지 못해 산속으로 도망가 토비(土匪, 무장 도적떼)가 되는 일도 있었다. 수많은 젊은 남녀 학생들이 고향이 아닌 낯선 시골 땅에서 각종 사고와 영양실조 혹은 천재지변 등으로 희생되었다.

중국의 한 건물 벽면에 홍위병(紅衛兵)이 그려져 있다. ©플리커

혁명이 끝나고 도시로 복귀한 이들을 기다린 것은 실업이라는 참담한 현실이었다. 10년이라는 세월의 공백으로 이미 진학의 길은 사라져 버렸고, 잃어버린 세월은 이들에게 정신적으로 신체적으로 큰 상처만 남기게 된다. 혁명 당시에 중학교, 고등학교를 다녔던 세대, 대학이 폐쇄되어 진학을 하지도 못했던 이들 즈칭들의 남은 인생은 유감스럽게도 그 어느 누구도 책임을 지지 못했다. 인생도 줄을 잘 서야 한다. 이들은 결코 스스로 원해서 이 시대에 태어난 것은 아니었다.

문화혁명의 상처는 우리의 상상을 초월한다. 내가 만난 중국의 모든 사람들에게 이 상처는 예외가 없었다. 본인이 아니더라도 가족 중의 적어도 한 사람은 혁명의 아픈 기억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었다. 이념으로 포장되어 자행된 10년 동안의 폭력과 상호 감시, 비방과 밀고, 자아비판의 사회상황은 중국인 개개인의 사회성에 깊은 장애를 남겼다. 문화대혁명은 이제 하나의 역사가 되어 과거로 자취를 감추었지만 그 상흔은 여전히 중국인들의 의식과 가족사에 지울 수 없는 문신처럼 남아 있다.

지금 중국 대륙을 선봉에서 끌고 있는 시진핑과 리커창이 혁명 당시 ‘시아팡’되었던 고난의 청년들이다. 여전히 가슴 속에 남아있을 그 고난의 상처를 그들은 어떻게 다스리고 있을까.[오피니언타임스=함기수]

 함기수

 글로벌 디렉션 대표

 전 SK네트웍스 홍보팀장·중국본부장

오피니언타임스은 다양한 의견과 자유로운 논쟁이 오고가는 열린 광장입니다. 본 칼럼은 필자 개인 의견으로 본지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칼럼으로 세상을 바꾼다.
논객닷컴은 다양한 의견과 자유로운 논쟁이 오고가는 열린 광장입니다.
본 칼럼은 필자 개인 의견으로 본지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론(nongaek34567@daum.net)도 보장합니다.
저작권자 © 논객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