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인의 눈으로 본 한류]

한류가 아시아를 넘어 전세계로 확산되고 있다.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에서도 K-pop이 인기를 얻으면서 새로운 한류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이에 프랑스 현지에서 프랑스인이 본 한류의 현장과 의미를 연재한다.

필자 스테판 쿠랄레는 INALCO(파리 동양문화언어대학교)에서 ‘한국 국가 이미지 연구’ 논문으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EHESS(파리 사회과학연구소)에서 언어학 박사를 취득했다. 현재 보르도 몽테뉴 대학(ubM)에서 한국학과장 부교수로 한국어를 강의하고 있다. 

얼마 전부터 다섯살 난 아들 녀석이 좀 이상했다. 제 엄마를 위한 지나친 배려(?)가 과장스러웠을 뿐 아니라 외부의 위험으로부터 엄마를 필사적으로 보호하려 애쓰는 듯한 모습 또한 낯설었다.

“엄마, 오늘 날씨가 너무 추워요. 따뜻한 집에 계세요. 아빠가 저 데리러 오면 되잖아요.”
또 그 다음날은
“엄마, 밖에 바람이 너무 많이 불어요. 우리 엄마 바람에 날아가 버릴지도 모르니까 아빠가 학교에 저 데리러 오세요.”

처음에는 우리 아들 효자라고 뿌듯해하던 나와 아내는 그 뒤에 감추어진 진실을 알고 나서는 적잖이 당황했다. 알고보니 학교 친구들에게 엄마가 ‘눈이 찢어진 중국사람’이라고 놀림을 받았던 모양이었다.

참고로 한국인인 내 아내의 눈은 전혀 찢어지지도 않았고 내 눈에는 예쁘기만 하다. 그러나 한국인 엄마를 둔 내 아들은 이 놀림이 싫었을테고, 결국 엄마가 학교에 오지 않도록 나름대로 머리를 쓴 것이었다.

놀림을 받고 보니 서양인과는 외모가 약간 다른 엄마가 부끄러웠을 수도 있고, 아니면 철없는 친구들로부터 엄마를 보호해야 한다는 걱정이 앞섰을지도 모르겠다. 아이의 머릿속에 들어가 보질 않아서 알 수 없는 일이다.

내 아내는 그토록 애지중지하던 아들이 자신을 부끄러워했을 수도 있다는 생각에 충격을 받았던지 눈물까지 보였다. 나는 이 상황을 어떻게 해결해야 할 지 고민했다.

상대와의 차이점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근본 이유는 ‘상대를 잘 모르기 때문’이라고 결론을 내린 나는 학교 선생님에게 ‘아시아, 특히 한국에 관하여’ 수업을 하겠다고 요청했고 선생님은 흔쾌히 허락해 주었다. 아들의 학교에는 학부형들이 자신들의 직업과 관련된 좋은 아이디어가 있으면 일일교사를 제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어 나는 한국관광공사 파리 지사에 전화를 해서 자초지종을 설명하고 아이들이 한국을 기억할 만한 자그마한 선물이 필요하다며 도움을 청했다. 그랬더니 그 다음날로 한국을 알리는 데 도움이 될 만한 자료들, 그리고 정성스럽게 포장된 예쁜 복주머니 서른 개를 담은 소포를 집으로 보내온 게 아닌가!

나는 한국인의 효과적이고 적극적인 일처리 방식에 다시 한 번 감탄하지 않을 수 없었고 진심으로 감사의 말을 전했다. 게다가 알고 지내는 한 한국 어머니의 후원으로 그 복주머니들은 한국 과자와 사탕으로 가득 채워졌다.

나는 준비한 것들을 들고 아들의 학교에 갔다. 아들은 다섯 살이지만 나머지 아이들은 여섯살로 초등학교 1학년이다. 나는 이 아이들의 순수함에 매료되어 시간가는 줄 모르고 대화를 나누기 시작했다. 먼저 아시아에 대한 설명을 하고 중국하면 생각나는 것을 물었더니 ‘쿵푸, 팬더곰’이라 대답했고 일본은 ‘스모, 쓰나미’라고 대답했다.

그러면 한국 하면 뭐가 생각나는지 물었더니 하나같이 ‘레오!’라고 외쳤다. 레오는 나의 아들 이름이다. 말하자면 한국인 엄마를 둔 레오를 제외하고는 한국에 대해 아는 게 없다는 말이기도 했다.

나는 한국 전래 동화책을 읽어 주고, 준비해 간 아들의 한복을 보여 주며 복주머니의 의미도 설명해 주었다. 그리고 동양인을 ‘눈이 찢어진 중국인’으로 비웃듯이 동양인들이 우리 프랑스인을 ‘미국 코쟁이’라고 놀리면 어떨 것 같냐고 물었더니 외모로 다른 사람을 놀리는 것은 슬프고 마음을 아프게 하는 일이라고 입을 모아 대답했다.

이제 아이들은 엽전, 새끼줄도 알게 되고 한복도 알게 되면서 무엇보다 한국을 가까이 느끼는 것 같았다. 사탕이 가득한 복주머니를 받아든 아이들은 그 반짝이는 눈으로 내가 가르쳐준 “감사합니다”를 외치고 또 외쳤다.

그리고 나의 아들 레오는 이제 “엄마가 학교에 왔으면 좋겠다”고 한다. 한국인 엄마를 자랑하고 싶어서… [오피니언타임스=스테판 쿠랄레]

프랑스어 원문

Depuis quelque temps, notre fils de cinq ans affichait un comportement pour le moins inhabituel. Il se montrait exagérément prévenant à l’égard de sa mère et pointait du doigt les dangers du monde extérieur :

« Maman, il fait trop froid aujourd’hui. Reste à la maison. Il vaut mieux que papa vienne me chercher à l’école »

Le lendemain :

« Maman, le vent souffle trop fort, il risque de t’emporter ! C’est papa qui va venir me chercher ! ».

Evidemment, au début, on se sentait plutôt fiers d’avoir un fils si attentionné mais nous avons fini par découvrir la réalité qui se cachait derrière tant de gentillesse : ses copains de l’école se moquaient apparemment de sa mère et de ses petits yeux bridés « à la chinoise ». Cela dit en passant, je n’ai jamais trouvé que ma femme avait de petits yeux bridés. Notre enfant aurait sans doute détesté entendre de telles railleries au point de bâtir un stratagème pour éviter la venue de sa mère à l’école. Aurait-il eu honte à ce point de l’apparence de sa mère qui n’a pas le profil occidental, à moins qu’il ait cherché à la protéger sa mère du regard moqueur de ses camarades. Quelle que soit la raison, ma femme n’a pu s’empêcher de cacher ses larmes. Voir son fils chéri ressentir de la honte vis-à-vis de sa propre mère lui était insupportable. Confronté à cette situation nouvelle, j’ai dû réagir vite. Convaincu que la méconnaissance des autres était le principal responsable de la maladresse des enfants, j’ai proposé à la maîtresse de faire une présentation sur le thème de l’Asie et en particulier sur la Corée. Elle a accepté avec plaisir cette proposition. Il faut dire qu’à l’école, les parents d’élèves ont toujours la possibilité de présenter leur métier dans la classe.

J’ai alors tout de suite téléphoné à l’office de tourisme coréen pour leur expliquer mon projet. J’avais besoin, entre autres, de petits souvenirs personnalisés pour marquer les esprits. Dès le lendemain matin, un colis était livré à mon domicile. Il contenait non seulement tous les documents nécessaires (guides et cartes de la Corée) mais surtout de ravissantes bourses porte-bonheur pour trente élèves ! Je ne peux m’empêcher de rappeler combien je suis admiratif devant l’efficacité et la rapidité du travail des Coréens en général. Je les ai remerciés chaleureusement. Ensuite, une mère de famille coréenne a eu l’excellente idée de garnir chaque petit sac de friandises coréennes.

J’ai ensuite apporté tout cela à l’école le jour de la présentation. Nous avons commencé à discuter et j’ai passé un moment très agréable, charmé par l’innocence et la curiosité de tous ces enfants. Nous n’avons pas vu le temps passer. Durant ma présentation, j’ai rappelé à ces enfants de CP où se situait l’Asie, puis j’ai posé quelques questions à propos de certains pays d’Asie :

La Chine, ça vous fait penser à quoi ? - …au Kung-fu, au panda.

le Japon ? – …au sumo, au tsunami.

la Corée ? - … à ce moment, les élèves ont répondu d’une seule voix : « à Léo ! » (le prénom de mon fils).

Autrement dit, à l’exception de leur camarade de classe dont la maman est d’origine coréenne, ils ne connaissent rien de ce pays.

J’ai alors lu des contes coréens puis j’ai distribué ces bourses porte-bonheur en rappelant qu’elles sont traditionnellement utilisées à l’occasion des vœux de bonne santé adressés aux parents par les enfants coréens.

J’en ai profité pour demander aux élèves si cela leur ferait plaisir qu’en Asie on nous appelle les « gros nez » pour nous reconnaître comme on se moque parfois des yeux bridés des Asiatiques. Tout le monde a alors répondu : « ce n’est pas bien de se moquer de l’apparence physique des autres car on peut être blessés dans son cœur ».

Grâce à ce moment d’échanges, les enfants ont pu écouter l’histoire des pièces de monnaies coréennes enfilées sur les cordelettes tressées, ils ont vu et touché un costume traditionnel – le hanbok- et se sentent plus proche de la Corée. Enchantés de recevoir une petite bourse porte-bonheur remplie de friandises, ils ont même appris à dire merci en coréen : « Kamsahamnida ! ».

Depuis ce jour, Léo redemande à sa mère : « j’aimerais bien que tu viennes me chercher », il est fier à présent de sa mère coréenne…

 스테판 쿠랄레(Stéphane COURALET)

  프랑스 몽테뉴대학 한국학과장 부교수

  저서 ‘한국어에 있어서의 집단 인칭, 우리’ 외 다수 

오피니언타임스은 다양한 의견과 자유로운 논쟁이 오고가는 열린 광장입니다. 본 칼럼은 필자 개인 의견으로 본지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칼럼으로 세상을 바꾼다.
논객닷컴은 다양한 의견과 자유로운 논쟁이 오고가는 열린 광장입니다.
본 칼럼은 필자 개인 의견으로 본지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론(nongaek34567@daum.net)도 보장합니다.
저작권자 © 논객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