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타임스=곽진학] ​내가 살고 있는 서울 서대문에서 큰 길을 건너면 안산에 이르는 길에 바로 ​닿는다. 안산은 높이가 295.9m로 인왕산에서 서쪽으로 뻗어 무악재를 이루고 조선건국 초기 도성 터로 거론될 만큼 명산이다.

​안산은 말이나 소의 안장과 같이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영조가 무악재 고개를 넘을 때마다 아버지 숙종의 명릉(明陵)을 ​바라보며 그 생전을 추억했다 하여 추모재라고도 불린다.

​몇년 전 구청에서 새 길을 내어 바닥에 나무를 깔고 목책을 세워 편안한 자락길로 단장했고 요즘은 서울의 명소가 됐다. ​내가 안산을 걷기 시작한 것은 병원 신세를 지고 난 직후였다.벌써 5년이 넘었다.

©픽사베이

​​질병은 본래 분자의 일탈에서 비롯된다고 한다. ​고향에서 집안 일로 분주히 뛰어 다니던 어느날 갑자기 복통이 나 병원 응급실을 찾았다가 몇가지 검사를 하더니 대장암이란다.

암은 이렇게 아무 예고도 없이 절벽처럼 나에게 다가섰다. 바로 내 옆에서 오랫동안 엿보고 서성이고 있었나 보다. 단 한번의 노크도 없이 ​불청객으로 무례히 찾아와 내삶을 폭풍처럼 흔들어 버렸다. ​어쩌면 그 끝을 알 수 없는 긴 여행이 될 것만 같았고,처절한 절망이 나를 송두리째 앗아갔다.

​​수술 후 2 년, ​파란 하늘에 솜털 구름이 얇게 펴진 어느 날. 3개월 마다 받던 검진이 관리를 잘한 덕에  1년 주기로 받게 될 것 같은 황홀한 꿈을 꾸던 날이었다.

그런데 ​하필이면 수술조차도 할 수 없는, 복막으로 암이 전이됐다고 했다. 심장이 멎는 줄 알았다. 희망이 사라진 자리에 절망이 들풀처럼 번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앉아 있을 수 없었다.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추우나 더우나 한결같이 5년여 안산 길을 오르내렸다.이젠 눈을 감고도 찾아 걸을 수 있을 만큼 됐다.

​안산 길엔 가문비나무(독일), 국수나무, 팥배나무, 화벽나무,배롱나무, 산 벗나무, 진달래, 산수유, 야생 감나무, 연산홍, 개나리를 ​여기저기 심어 놓아 사시사철 오가는 사람들의 마음을 달랜다.​하늘 높이 솟은 메타세쿼이아 가지 사이로 흰 설편(雪片)이 춤추듯 휘날릴 때면 염려와 근심, 미움과 분노, 절망과 고통은 순식간에 사라지고 ​감사와 환희, 사랑과 소망, 평화와 행복이 텅빈 내 영혼을 감싼다.

​​무척 서러웠던 날 늦은 오후  안산을 찾았다. ​길은 어둑어둑하고 날씨는 싸늘한데, 오가는 인적도 드물어 내딛는 걸음이 무거운 밤길, 등이 까맣고 배가 하얀 고양이 한 마리가 ​나에게 불쑥 다가와 바지에 몸을 비빈다. ​날마다 곧 쓰러질듯이 기진맥진해 걷는 내 모습이 안쓰러워 보였던 것일까.말은 하지 못해도 내 앓는 소리를 고양이가 고스란히 ​들었던 걸까.​모처럼 평화로운 밤을 보냈다.

©픽사베이

​과연 나는 무엇을 찾아 이 어두운 광야를 황망히 달려왔는지. ​수수깡같은 욕망과 자본주의가 요구하는 신기루같은 행복을 찾아 천근만근 무거운 삶에도 여기까지 오지 않았던가.​성공과 실패, 건강과 질병, 풍요와 궁핍 중에서 과연 어느 것이 더 유익한 지 그 분별은 하나님의 비밀스러운 섭리 속에 ​감춰져 있는 것이 아닐까.

​우연히 한 중고 서점에서 ‘운명’(임레 케르테스)이 눈에 띄었다. ​15~6세의 철모르는 소년이 유태인으로 태어났다는 이유만으로 아우슈비츠 등을 전전하면서 겪은 이야기다. 가장 비인간적인 세계 가운데서 인간의 조건에 대해 담담히 묘사하고 있다. 그가 내적 자유 하나만 ​소유한 채 운명을 버텨낼 수 있던 것은 삶에 대한 애착 때문이었다. ​사회의 모순된 구조와 억압 속에서도 운명이 없다고 부르짖을 수 있는 인간은 정말 위대하지 않은가.

​사람은 누구나 고난이 있기 마련이다. ​고통받지 않는 영혼이 있을까. ​고난을 이기고 참아내는 것도 능력이고 실력이라고 한다. ​고난을 친구로, 질병을 길동무로 함께 지내지 못하고 걸핏하면 쉽게 비명을 지르고 엄살을 부렸던 내가 아니었나.

​고통으로 말하면 예수님만한 분이 또 있을까. 인생노정 중간에 나는 길을 잃고 어느 숲속을 방황하며 살았다.

연약하고 실수 많은 인간이 성공과 행복에 이르는 길은 과연 무엇일가. 저 성공의 파노라마는 회개의 문 앞에 떠도는 겨울 바람과 같은 것이 아닐까. 우리들이 사는 세상은 필요를 위해서는 매우 풍요롭지만 탐욕을 위해서는 늘 부족하지 않았던가.​

​병을 치유하고 회복하는 길은 무척 길고 험했다. 그러나 매일같이 안산을 걷는 동안 새벽마다 출렁이던 통증은 작별의 인사도 없이 어느새 자취를 감추고 말았다. 그 신비한 기적의 ​이유를 나는 찾아 나서고 싶다.

주여~​돌아온 탕자를 두팔로 안아 주시고 뽕나무에 숨어 있던 삭개오를 찾아 부르신 것처럼, 저를 붙잡아 병들고 묻힌, 배고프고 짓밟힌 ​이들을 한 시도 잊지 말게 하소서. [오피니언타임스=곽진학]

칼럼으로 세상을 바꾼다.
논객닷컴은 다양한 의견과 자유로운 논쟁이 오고가는 열린 광장입니다.
본 칼럼은 필자 개인 의견으로 본지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론(nongaek34567@daum.net)도 보장합니다.
저작권자 © 논객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