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장과이슈]

©픽사베이

[오피니언타임스=권혁찬] '부패때문에 망한 나라는 있어도 청렴해서 망한 나라는 없다'

부정청탁금지법이 완화될 조짐을 보이자 사회단체를 중심으로 반발 움직임이 거셉니다. 경실련은 식사비 상한을 5만원으로, 선물대를 농축수산물에 한해 10만원으로 올리려는 최근의 정부 움직임과 관련, ‘부정청탁금지법 완화시도’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습니다.

경실련은 “국민권익위원회가 국정현안점검 조정회의에서 부정청탁금지법으로 제한하는 식사비 상한을 3만원에서 5만원으로, 선물은 농·축·수산물 품목에 한해 10만원으로 상향 조정하는 개정안을 보고하고, 지난 19일에는 이낙연 총리가 부정청탁금지법 시행령 개정을 논의 중이며, 늦어도 설 대목에는 농축수산인들이 실감하도록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며 “명확한 근거자료없이 부정청탁금지법을 완화하려는 시도에 우려를 표한다”고 밝혔습니다.

경실련은 “식사비 3만원도 2017년도 최저임금 6470원을 기준으로 할때 5시간 동안 일해야만 가능한 금액이고, 2018년 최저임금 7530원으로는 4시간 일해야만 하는 금액”이라며  “5만원으로 올리는 것은 2018년 최저임금 기준으로 하루 종일 일해야만 식사가 가능한 금액”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따라서 “현 부정청탁금지법 시행령에 2018년 12월31일까지 시행해 보고 식대, 선물, 경조사비에 대한 기준을 재검토하도록 명시하고 있는 만큼 법적시한까지 현재 법을 유지해보고 평가한 뒤에 해도 늦지 않다”고 강조했습니다.특히 “부정청탁금지법 완화를 주장하는 것이 농가를 위한 것도 국민들을 위한 것도 아닌, 극소수 계층과 일부 농수축산업자, 고가 음식점 등에 국한될 뿐”이라며 “겨우 자리잡고 있는 청렴문화를 정부가 나서서 꺾으려는 것은 국민적 비판을 피할 수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경실련은 “3만, 5만, 10만원의 규정이 서민들에게는 여전히 높은 금액임을 명심해야 한다”며 “오히려 서민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경조사비를 5만원으로 줄이는 '3·5·5만원'의 규정을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습니다.

<경실련 성명서>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이하 부정청탁금지법)을 무력화하려는 정부의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국민권익위원회는 16일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부정청탁금지법으로 제한하는 식사비 상한을 3만원에서 5만원으로, 선물은 농·축·수산물 품목에 한해 10만원으로 상향 조정하는 개정안을 보고했다. 19일에는 이낙연 총리가 부정청탁금지법 시행령 개정을 논의 중이며 늦어도 설 대목에는 농축수산인들이 실감하도록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시행 1년을 넘은 부정청탁금지법은 과도한 접대 관행 등 고질적인 부정청탁문화를 크게 완화하면서 시민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

권익위는 그동안 부정청탁금지법이 실제 미치는 경제적·사회적 영향에 대한 실태조사를 마친 뒤 개정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해왔다. 그럼에도 권익위는 물론 정부가 나서 명확한 근거자료없이 부정청탁금지법을 완화하려는 시도에 우려를 표하지 않을 수 없다.

경실련은 부정청탁금지법의 긍정적인 효과를 무력화시키고 법의 근본취지를 훼손하려는 일체의 완화시도를 즉각 중단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

첫째, 부정청탁금지법 적용 완화는 사실상 부정청탁금지법을 무력화하는 조치다!

부정청탁금지법때문에 농어민들의 피해가 막심하다는 것은 우리사회의 부정부패가 만연했다는 주장과 다름없다.

부정청탁금지법 1년 동안 일시적인 혼란과 농어민들의 일부 피해가 발생할 수는 있으나, 서민경제 파탄의 근본 원인이 부정청탁금지법 때문이라는 것은 심각한 가계부채, 양극화 심화 등 경제정책의 실패에 의한 것임을 호도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경실련을 비롯한 시민사회에서는 부정청탁금지법 시행 전 정부와 정당, 산업계에 농수축산업계를 보호할 수 있는 보완책 마련에 적극 나설 것을 촉구했지만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식사비 3만원도 국민들의 입장에서는 매우 높은 금액이다.식사비 3만원은 2017년도 최저임금 6470원으로 5시간 동안 일해야만 식사가 가능한 금액이고, 2018년 최저임금 7530원으로는 4시간을 일해야만 가능한 금액이다. 이를 5만원으로 상향한다는 것은 2018년 최저임금으로 하루 종일 일해야만 식사가 가능한 금액이다.

현 부정청탁금지법 시행령에는 2018년 12월31일까지 시행해 보고, 식대, 선물, 경조사비 대한 기준을 재검토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청탁금지법 개정을 논의하고자 한다면 법적시한까지 현재 법을 유지해보고 평가한 이후에 해도 늦지 않는다.

그럼에도 정부는 끊임없이 부정청탁금지법 완화시도를 하고 있다. 지난 9월에도 김영록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지난 식대 5만원, 선물 10만원, 경조사비 5만원으로 조정해야 한다는 입장을 제시했다. 부정청탁금지법 완화를 주장을 하는 것은 농가를 위한 것도 국민들을 위한 것도 아닌, 극소수 계층과 일부 농수축산업자, 고가 음식점 등에 국한될 뿐이다.부정청탁금지법 시행으로 겨우 자리 잡으려고 하는 청렴문화를 정부가 나서서 꺾으려 하는 것은 국민적 비판을 피할 수 없다.

둘째, 부정청탁금지법 완화가 아닌 근본적인 농어민 대책과 부패문화 근절에 적극 나서라!!

공직자의 부정부패는 한국사회의 발전을 저해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다. 청탁금지법 완화를 주장을 하는 것은 농가를 위한 것이라기보다 공직자들의 부패문화를 지속하기 위한 것이 아닌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고가선물을 주고받는 와중에 일어나는 청탁은 부정부패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그로 인한 사회적 손실은 당장 농가가 입는 피해 이상의 악영향을 우리사회에 끼친다.부정청탁금지법을 완화한다면 청탁을 시도할 수 있는 여지는 그만큼 커지게 되고 부정청탁금지법은 사실상 무력화 될 수밖에 없다.

부정청탁금지법 시행으로 인해 농어민들의 피해가 명확하지 않는 상황이지만,일시적인 부작용과 혼란을 이유로 법을 완화하기 시작하면 결국 법 자체를 유명무실하게 만들 뿐이다.지금이라도 정부는 판로를 개척하고 상품을 개발하는 등 농수축산업계를 보호할 수 있는 보완책 마련에 적극 나서야 한다.아울러 정부는 3만,5만,10만원의 규정이 서민들에게는 높은 금액임을 명심해야 한다.

오히려 서민들의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 경조사비를 5만원으로 줄이는 3·5·5만원의 규정을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시대적인 청탁문화와 부정부패를 극복하지 못한다면 우리사회의 발전을 더 이상 기대하기 어렵다. 부패때문에 망한 나라는 있어도, 청렴해서 망한 나라는 없다.

칼럼으로 세상을 바꾼다.
논객닷컴은 다양한 의견과 자유로운 논쟁이 오고가는 열린 광장입니다.
본 칼럼은 필자 개인 의견으로 본지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론(nongaek34567@daum.net)도 보장합니다.
저작권자 © 논객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