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객 말! 말! 말!]

“그런다고 세상이 바뀌나요?”
1987년 민주항쟁을 소재로 한 영화 ‘1987’. 영화가 관객에게 던지는 질문입니다.

그해 1월 서울 남영동 치안본부 대공분실에서 조사받던 스물두살의 서울대생 박종철군. 그가 경찰의 물고문 끝에 사망합니다.

영화 1987 포스터. ©네이버영화

‘박군이 사망하자 증거인멸을 위해 대공수사처 박처장(김윤석) 주도아래 경찰은 즉각적인 시신 화장을 검찰에 요청한다. 그러나 당직검사인 최검사(하정우)는 이를 거부하고 부검을 밀어부친다. ‘탁! 치니 억! 하고 죽었다’며 단순 쇼크사로 거짓발표를 이어가던 경찰. 그러나 현장에 남은 흔적과 부검 소견은 고문에 의한 사망을 가리키고, 사건을 취재하던 윤 기자(이희준)는 물고문 중 질식사했다는 사실을 보도한다. 이에 경찰은 조반장(박희순) 등 형사 둘만 구속시키며 사건을 축소하는데...’(영화 1987)

1987년 박종철군 고문치사 사건을 은폐, 조작, 축소한 사실이 폭로되면서 독재정권에 맞서 시민항쟁의 불꽃이 타오릅니다.

영화는 당시 언론의 끈질긴 취재와 보도, 재야인사들의 진실규명 노력, 연세대생 이한열(강동원)군 사망사건으로 폭발한 학생과 시민들의 시위모습을 꽤 사실적으로 담아냅니다.

일련의 흐름 속에 수감된 조반장을 통해 고문사건의 진상을 알게 된 교도관(유해진). 이 사실을 수배 중인 재야인사에게 전달해달라며 조카 연희(김태리)에게 부탁하지만 연희는 삼촌의 부탁을 거절합니다.

나서기 주저하던 신입생 연희가 시민항쟁에 합류하게 되는 과정을 그리면서 영화는 “그래야 세상이 바뀐다!”고 답해 줍니다.

누적관객 600만명을 돌파한 영화는 1987년을 겪지 않은 세대에게도 감동있게 다가가는 모양입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울림이 컸던 대사가 ‘그런다고 세상이 바뀌나요’였다. 힘을 모으면 세상이 바뀐다는 걸 영화가 보여준다”고 했습니다.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은 페이스북에 “그 사건들이 일어난 시간들 속에서 나는 무지했고 비겁했다”며 회환의 글을 올려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머니투데이 관련기사 바로가기> .

 

  [오피니언타임스=권혁찬] 

칼럼으로 세상을 바꾼다.
논객닷컴은 다양한 의견과 자유로운 논쟁이 오고가는 열린 광장입니다.
본 칼럼은 필자 개인 의견으로 본지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론(nongaek34567@daum.net)도 보장합니다.
저작권자 © 논객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