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연대, 주치의 제도 도입 등 보건의료체계 개선 제언

[오피니언타임스=NGO 논평]

“보건복지부가 최근 2019년 OECD 보건통계를 발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GDP 대비 경상의료비는 7.6%로 OECD 평균보다 낮지만, 경상의료비 증가율은 매우 높은데다 1인당 외래진료 횟수는 연간 16.6회로 가장 많다. 평균 재원일수도 18.5일로 가장 긴 편이다. 반면 ‘본인이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29.5%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낮았다”

사진 참여연대 홈피 캡쳐

참여연대는 “일차 보건의료체계가 미비하고 주치의제도 등이 시행되지 않아 OECD 국가 중 시민들의 병의원 이용율이 가장 높으면서도 막상 스스로는 건강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모순적인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노령화와 만성질환의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일차 보건의료체계와 주치의제 도입이 시대적 과제”라고 밝혔습니다.

“한국은 지금까지 낮은 비용으로 높은 결과를 도출하는 보건의료체계를 가져왔다. 하지만 급격한 고령화와 이로 인해 발생할 의료비 증가사태를 기존 체계로 유지할 수 있을지 논란이 되고 있다. 우선 병의원을 많이 이용하는 것은 지불체계를 행위별 수가제로 활용하는 국가들의 문제점이다. 가까운 일본도 행위별 수가제도를 입원까지 이용하며, 회원국중 두번째로 병의원 이용횟수가 높다. 대부분의 OECD 국가들은 입원환자에 대해서는 총액예산제나 포괄수가제와 같은 지불체계를 통해 적정의료이용을 조절하고 있다. 또한 일차 보건의료체계는 주치의제도를 기본적으로 도입하고 있어 의료인과 환자간의 긴밀한 관계를 바탕으로 시민들 스스로 건강관리와 문제점을 자각하고, 건강에 대한 자신감도 키워갈 수 있는 지역사회보건의료체계를 갖추고 있다”

참여연대는 “일차 보건의료체계와 주치의제의 부재로 인해 병의원 과다이용에도 불구하고 시민들은 건강염려증에 시달리는 현실이 의료 ‘시장화’의 결과”라며 “약품과, 행위 하나하나에 비용을 부과하는 행위별 수가제도를 유지하면서도 공적 의료전달체계를 확충하지 않고 시장에 맡긴 결과 시민들은 과잉진단, 과잉진료의 두려움에 떨면서도 스스로 건강하다고 느끼지 못하게 됐다”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경제적으로도 가계 의료비부담비율이 OECD 최상위권으로, 이러한 문제는 전적으로 시장중심 의료체계 및 의료산업화를 추진한 역대 정권과 의료산업화론자들의 책임”이라며 “앞으로 한국의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도 공적인 의료전달체계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제언했습니다.

“의원과 병원의 임무분담과 의료전달체계 확립은 이제 더 이상 미룰 수 있는 과제가 아니다.이를 위해 보건의료 산업화가 아니라 보건의료 공공성 확대에 정부가 앞장서야 한다. 2019 OECD 보건의료통계 발표에 즈음해 정부는 조속히 의료 공공성 강화를 위한 대안을 내놓아야 할 때다”

칼럼으로 세상을 바꾼다.
논객닷컴은 다양한 의견과 자유로운 논쟁이 오고가는 열린 광장입니다.
본 칼럼은 필자 개인 의견으로 본지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론(nongaek34567@daum.net)도 보장합니다.
저작권자 © 논객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