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연대, “기업과 정부·국회, 특조위 권고 바탕으로 개선방안 마련해야” 촉구

[오피니언타임스=NGO 논평]

-고 김용균씨 사망사고 진상규명·재발방지 특조위, 고용구조 변화없이 하청노동자 산업재해 문제 해결불가 강조

참여연대가 "특조위의 권고를 바탕으로 기업과 정부, 국회가 위험의 외주화 개선방안을 시급히 마련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지난 8월 19일 ‘고 김용균 사망사고 진상규명과 재발방지를 위한 석탄화력발전소 특별노동안전조사위원회’는 고 김용균 님 사망사고를 비롯해 발전소에서 발생한 반복적인 산업재해의 원인을 진단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특조위는 발전소 하청노동자들에게 빈발한 산업재해의 원인이 발전회사가 주장하는 ‘노동자들의 주의 부족’이 아닌, ‘위험의 구조화’에서 기인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발전회사의 민영화·외주화 과정에서 공고화된 ‘안전에 대한 권리없이 책임만 전가되는 원하청 구조’가 지속적 산재사고 발생의 원인이라는 것이다”

참여연대는 “위험의 외주화로 발생하는 산업재해의 위험은 비단 발전소 하청노동자들만 직면한 문제는 아닐 것”이라며 “기업과 정부·국회는 특조위가 보고서에서 지적한 산업재해 문제에 대한 진단과 개선방안에 귀 기울이고 시급히 개선방안을 마련해 나가야 한다”고 주문했습니다.

“특조위는 하청노동자들이 위험업무를 혼자 수행하게 만드는 고용구조, 도급업체들의 최대 50% 이상의 임금 착복, 산업재해 위험을 예방하고 해결할 권한이 하청노동자들에게 없는 구조 등을 지적하며 외주화로 발생하는 문제들에 대한 근본적 개선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또한 특조위는 협력사들의 작업 관련 사고 및 중독위험은 발전회사의 5-6배이고 산업재해와 건강상의 문제가 발전회사(원청) 노동자들보다 하청노동자들에게 현격히 더 많이 발생하고 있다며 해결방법으로 하청노동자 직접고용, 민영화와 외주화 중단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참여연대는 “고용노동부 산하기관인 안전보건공단이 2017년 4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5년 원·하청 통합 사고사망 만인율(근로자 만명당 발생하는 사망자 수의 비율)은 원청 사고사망  만인율의 4배에 이른다”며 “특조위의 진단은 우리 사회가 익히 알고 있었던 사실을 다시 한번 확인해 준 것에 다름아니다”고 밝혔습니다.

“고 김용균 님 죽음의 원인을 규명하고 다시는 이러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기를 바라는 염원이 모여 특조위가 출범했고 수개월만에 진단과 해법이 제시된 보고서가 나왔다. 특조위가 지적한대로 ‘노동자들에게 노동안전권은 곧 생존의 문제’다. 지난해 12월 산업안전보건법이 개정됐으나 원청 책임 범위가 여전히 협소하고 유해·위험한 작업에 대한 도급 제한·승인 업종는 제한적이라는 등 비판을 받아왔다. 법개정에도 불구하고 고 김용균 님의 업무는 여전히 도급 금지 대상이 아니다. 특조위 또한 외주화로 인한 위험을 노동자가 감수해야 하는 구조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며 기업의 법적책임 강화를 위한 중대재해기업처벌법과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도입과 산업안전보건행정의 개선을 권고했다”

참여연대는 “산업안전을 지키는 것이 비용을 증가시킬 뿐이라는 성장시대의 낡은 패러다임에서 이제는 벗어나 노동자의 기본적인 인권과 안전을 위한 권리보장의 관점에서 바라보아야 한다”며 정부와 국회의 법제도 개선 노력과 기업의 인식변화를 거듭 촉구했습니다.

 

칼럼으로 세상을 바꾼다.
논객닷컴은 다양한 의견과 자유로운 논쟁이 오고가는 열린 광장입니다.
본 칼럼은 필자 개인 의견으로 본지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론(nongaek34567@daum.net)도 보장합니다.
저작권자 © 논객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