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와 사진작가의 14,400km의 여정] 베를린(Berlin)6

이것은 현란한 아우성

처음에 붙인 놈이 제일 잘난 놈이다.
그걸 보고 옆에 놈이 따라서 붙였을 게고
세 번째부터는 너도나도 우르르 붙였을 게다.

술집 전단지인지, 공연 안내문인지, 사원모집 공고인지
의미없는 딱지인지 알 수 없으나
전봇대는 화려한 옷을 입었다.

그렇게
소리없는 아우성이 아니라
현란한 아우성이 되었고
붙인 사람의 바람과 상관없이
들여다보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현란하되 쓸모없는 몸짓일 뿐이다.

현란한 광고전단이 덕지덕지 달라붙은 전봇대. 더 많이 더 널리 알리려는 욕망에서 비롯된 광고전쟁이 세계 어디에서나 똑같이 벌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김인철

탈 것은 진화한다

옛날에 프로이센 왕국의 빌헬름 폰 훔볼트가 세운 대학이라 하는데
황태자의 여름별장이었다는 설명도 있다.
처음엔 베를린대학(Universität zu Berlin)이었다가 프리드리히빌헬름대학(Friedrich-Wilhelms-Uiversität)으로 바뀌었다가 지금은 베를린훔볼트대학(Humboldt-Universität zu Berlin)이며, 운터덴린덴대학(Universität unter den Linden)으로 불리기도 한단다.
철학과가 유명한데 마르크스(대략 1836년 즈음), 헤겔, 아인슈타인, 그림형제(Jacob & Wilhelm Grimm) 등이 이 대학을 졸업했다고... 그러나 헤겔은 이 대학을 졸업한 것이 아니라 1818년에 철학 교수로 부임했다.
인터넷을 보면 멋진 교문이 있는데
지금은 없는 듯하다(어쩌면 반대편에 있을 수도).

회색 타일이 촘촘히 박힌 광장에 오래되고 육중한 시계탑이 있고
자전거를 탄 향도자를 따라
사내들이 전동바이크(?)를 타고 줄지어 어딘가로 가고 있다.

180년 전 마르크스는 이러한 풍경을 상상이나 했을까?

마차에서부터 자전거, 그리고 전동바이크까지. 200년 된 훔볼트대학 안팎에서 탈 것의 진화를 보았다. Ⓒ김인철
Ⓒ김인철
Ⓒ김인철
200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하는 공립 종합대학교 훔볼트대학(Humboldt Universität)의 메인 건물 정면, 그리고 자연과학자이자 지리학자인 알렉산더 폰 훔볼트(1769~1859) 동상. 1810년 설립된 훔볼트대학 입구에 당시 종무·교육국 장관으로 대학 설립을 제의한 카를 빌헬름 폰 훔볼트가 아니라, 19세기 최고의 학자였던 동생의 동상이 서 있는 게 이채롭다. Ⓒ김인철
Ⓒ김인철

 김인철

 야생화 칼럼니스트

 전 서울신문 논설위원

 김호경

1997년 장편 <낯선 천국>으로 ‘오늘의 작가상’을 수상했다. 여러 편의 여행기를 비롯해 스크린 소설 <국제시장>, <명량>을 썼고, 2017년 장편 <삼남극장>을 펴냈다.

오피니언타임스은 다양한 의견과 자유로운 논쟁이 오고가는 열린 광장입니다. 본 칼럼은 필자 개인 의견으로 본지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론(news34567@opiniontimes.co.kr)도 보장합니다.

칼럼으로 세상을 바꾼다.
논객닷컴은 다양한 의견과 자유로운 논쟁이 오고가는 열린 광장입니다.
본 칼럼은 필자 개인 의견으로 본지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론(nongaek34567@daum.net)도 보장합니다.
저작권자 © 논객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