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경험 없는 인사는 행장 부적합”

시민단체들이 9일 차기 기업은행장을 은행업 전문성이 부족한 관료 출신으로 앉히지 말라고 주장했다. 사진은 기업은행 사옥과 표지ⓒ출처=더팩트

[오피니언타임스=이상우] IBK기업은행 노조에 이어 시민단체들이 기업은행장 문제로 들고 일어났다. 차기 행장으로 은행 경험이 부족한 낙하산 인사, 특히 관료 출신은 안 된다는 지적이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금융정의연대, 빚쟁이유니온(준) 등은 9일 공동 성명을 통해 "관치(官治) 금융의 그림자가 드리우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2013년 박근혜 정부 때 민주당 의원들은 관치가 독극물이자 발암물질이라고 비난했다”며 “그땐 독약이던 관치 금융이 지금은 보약이라도 된 건지 의문”이라고도 했다.

기타 공공기관인 기업은행은 민간 금융사와 행장 선출 방법이 다르다. 민간 금융사는 이사회 멤버 등으로 구성된 행장추천위원회(행추위)가 행장을 선정한다. 기업은행은 금융위원장의 임명·제청을 거쳐 대통령이 낙점해 행장을 결정한다.

2016년 말 취임한 현 김도진 기업은행장의 임기는 오는 27일까지다. 김도진 행장 후임으로 거론되는 인사는 정은보 한미 방위비 협상 수석대표, 유광열 금감원 수석부원장, 임상현 기업은행 전무, 김영규 IBK투자증권 사장, 시석중 IBK자산운용 사장 등이다.

이들 중 누가 행장으로 가능성이 큰지 구체적으로 드러나진 않았다. 다만 이번엔 관료 출신이 유력하다는 평가가 나오긴 한다. 기업은행은 1961년 창립 이래 대부분 관료 출신들이 행장을 맡았다. 그러다 2010년 조준희 행장을 시작으로 권선주, 김도진 행장까지 3연속 내부 인사가 기업은행을 이끌었다.

앞서 기업은행 노조도 입장을 밝혔다. 노조는 지난달 29일 금융위가 있는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낙하산 관료를 행장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며 “차기 행장으로 점쳐지는 외부 인사들이 모두 함량 미달이다. 정부는 부적격 행장을 선임하지 말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저작권자 © 논객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