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이 왔습니다. 추위도 이제 점차 물러가고 봄기운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올해는 국회의원 총선거와 대통령선거가 치러지는 '정치의 해'이죠. 이런 때를 맞아
한국정치의 폭발성, 불안정성 즉 유동성을 검토해 보겠습니다.
 
국민의 삶을 안정시킴으로써 한국사회의 갈등과 대립을 완화시키는 책무는 국가 정부 정치의
중요한(어찌 보면 가장 근원적인) 책무의 하나일 것입니다. 하지만 한국정치권은 한국인의 불안정한
삶의 사회지형에 의해 떠밀려 가는 쓰나미일지도 모릅니다. 
 
한국정치의 격렬성은 그 진앙이 고용구조에 있지 않을까 생각해보면서 이야기를 전개해 보겠습니다.
============================================================
   우선 한국은 일자리를 가진 사람이 선진국에 비해 낮다. 특히 청년고용은 미국 영국에 비해서는
두배 이상 일본 프랑스에 비해서도 현저히 낮다. 여성고용도 구미 선진국에 비해 현저히 낮다. 취업자로 분류
되었다 하더라도 무늬만 일자리인 경우도 많다. 가령 1주일에 1시간이상 유급노동을 하면 취업자다.
 
주부 학생 등 비경제활동인구 중에서도 아예 일자리를 포기한 실망실업자도 다수 존재하며 괜찮은
일자리가 있으면 직장생활에 응할 수 있는 주부들도 상당수 존재한다. 이런 사람들수는
무려 1천500만명정도다.
 
다음은 취업자 문제다.
 
  우선 직장생활이 자영업보다 좋다. 의사 변호사등 일부 직종을 제외하면 자영업자 수입은 변변치 않다.
2010년의 경우 직장인 1,697만1천명이 527조5,690원을 가져가 1인당 3,100만원을 가져갔다. 반면 자영업자는
116조6,580억원을 가져가 1인당 1,700만원을 가져간 셈이다. 당연 대다수의 사람들은 직장을 선호한다.
 
그런데 그 격차는 2000년 대비 (직장인 1인당 1,900만원 : 자영업 1인당 1,200만원) 더욱 확대됐다.
이런 비임금근로자(고용주,자영업자, 무급가족노동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취업자 10명중 약 3명이다.
대개의 경우 밀려서 자영업자가 된 경우가 많다. 대다수 자영업을 선호할 리 없다.
 
그렇다면 직장인의 취업상황은 어떨까??
대체로 선호하는 1000명 이상 사업장 종사자는 임금근로자의 6.3% 약 76만명이다.(1996년10,6%보다 대폭감소했다)
여기에 국가인증 전문직, 공공부문 종사자 등을 합하여 괜찮을 일자리가 약 경제활동인구의 약 10% 250만명을 차지한다.
 취업자의 임금격차는 좋은 일자리에 대한 선호를 더욱 증폭시킨다. 한국근로자의 하위10%와 상위10%의
임금을 비교하면 2005년 현재 4.51배인데 헝가리 미국에 이어 세번째로 높다. 만일 이 통계에 자영업자까지 포함
시키면 약 6~7배정도 일 것으로 추정된다.
 
2008년 기준 층위별 평균임금은 다음과 같다.
상위 10%에 해당하는 근로자 평균임금은 4,100만원, 하위 10%는 780만원
정규직 평균임금은 3,060만원, 비정규직 평균임금 1,440원
 
대기업 상위 100개사 평균임금 5,971만원, 중앙행정기관 5,151만원
대기업 상위 1000개사 평균임금 4,769만원, 5인이상 정규직 평균임금은 2,896만원
전체노동자 평균임금은 2, 220만원 이다.  
 
여기에 상위 10% 직장의 고용안정성은 매우 높다. 각종 기업복지까지 포함한다면 하위 90%대비 매우 높다.
이런 이유로 해고저항은 아주 강력하다. 더구나 지금 노동조합구성은 대체로 상위 10%해당 노동자가 압도적이다.
이런 이유로 공공부문이나 대기업은 일자리를 늘리는데 인색할 수 밖에 없다.

가령 호황국면에서 노동력이 더 요구될 때는 외주처리하거나 하청 등으로 완충지대를 만든다. 상위 대기업, 공공부문으로 오는 충격을 중하위기업 혹은 노동자에게 전가한다. 더구나 한국사회 근로자는 사회 혹은 국가 복지의 혜택이 별로
없다. 오직 어떤 수를 써서든 일자리에 매달려 있는게 최상책이다.
 
반면 북구의 경우는 다소 상황이 다르다. 대기업이든 중소기업이든 공공부문이든 또 업종 산업의 차이에 별 관계없이
대체로 임금은 연간 1인당 GDP의 0.8배~1.5배 이내에서 결정된다. 그리고 사회안전망 즉 실업시 완충망을 잘 구비하고
있어 근로자의 해고에 대한 불안이 적다. 해고저항이 강력하지 않다. 그러므로 구조조정이 순조롭다.
 
상위 10% 근로자는 국제경제 혹은 국내경제의 동요에 방어기제가 많으나 그 이하(자영업 포함)는 완전히 노출되어 있으며 그 부담을 개인이 져야 한다. 이러한 포괄적인 근로, 고용환경의 격차는 날로 커지고 있고 중하위층의 불안정성은 더욱 강화되고 있다. 이는 가계재산구조와도 직결된다. 저소득은 저재산으로 연결되고 대물림되는 구조로까지 이어진다.
 
각종 경제개혁론이 부상하는 이유는 10년전, 20년전에 비해 격차가 커지고 있을 뿐 아니라, 좀 더 나은
일자리로의 전환이 불가능한 구조로 고착되기 때문이다. 양극화가 고착화되면 공동체의 기본질서는 무너진다.
노동의 질과 양을 담보하는 하부 90%가 부실해 지면 한국사회의 총체적 활력은 떨어질 수 밖에 없다.
 
재산규모 3억이하 경제활동인구의 약 70%를 차지하는 하위소득/재산 층의 삶의 불안정성이 정치구조를 뒤흔드는
진앙이다. 헌데 이 시점에서 여야 공히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정교한 정책적 대안과 정치역량이 있을까??
현재까지는 회의적이다.
 
또 정치권 뿐아니라 행정관료, 언론계, 학계 대체로 책임이 없고 대안이 없기는 마찬가지인 것으로 보인다.
 
ⓒ 오피니언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칼럼으로 세상을 바꾼다.
논객닷컴은 다양한 의견과 자유로운 논쟁이 오고가는 열린 광장입니다.
본 칼럼은 필자 개인 의견으로 본지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론(nongaek34567@daum.net)도 보장합니다.
저작권자 © 논객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