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이 사과한 사안 검찰 고발하고 개인정보 담은 고발장 공개까지

삼성의 불법사찰에 대한 시민사회단체 공동대응이 지난달 23일 삼성을 검찰에 고발했다. 사진은 삼성 사옥 출입문ⓒ출처=더팩트

[오피니언타임스=이상우] “제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면 국내에서 기업 안 합니다.”

재계 관계자들을 만나 삼성 관련 대화를 나눌 때 나오는 말입니다. 삼성에 대해 나쁜 얘기를 할 법한 경쟁사 직원들도 비슷한 소릴 합니다. 그만큼 우리 사회 일각에서 벌어지는 삼성 때리기가 지나치단 뜻이죠.

삼성이 다 잘했는데 부당하게 욕먹는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위법 행위에 대해선 벌을 받아야죠. 삼성이 잘못을 인정하고 고쳐 나가는데도 멍석말이를 하니 문제란 겁니다.

예를 하나 들어 보겠습니다. 지난 2월 말 삼성은 옛 미래전략실이 저지른 임직원 시민단체 기부금 후원내역 무단 열람 사건을 공식 사과하고 재발 방지를 약속했습니다. 준법감시위원회(이하 준법위) 권고를 수용한 거죠. 준법위는 삼성 임직원의 불법 행위를 근절하고 준법 경영을 강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외부 독립 기구입니다.

삼성이 고개를 숙였지만 시민단체들은 싸늘한 반응을 보였습니다. 진정성이 의심된다는 거죠. 그럴 수 있습니다. 오랫동안 맺힌 불신의 응어리가 순식간에 사라지긴 어려우니까요.

그런데 15개 시민단체가 연대했다는 ‘삼성의 불법사찰에 대한 시민사회단체 공동대응(이하 공동대응)’은 한발 더 나갔습니다. 임직원 불법 사찰 꼼수 사과를 규탄한다며 삼성을 검찰에 고발한 거죠. 

공동대응 소속 한 시민단체는 자신들의 인터넷 카페에 삼성 임직원 개인정보가 담긴 고발장을 게재하기도 했습니다. 삼성 임직원들 실명, 집 주소 등이 모두 노출된 위험천만한 순간이었습니다. 고발장은 현재 내려간 상탭니다.

공동대응 주장대로 삼성이 꼼수를 쓴 건지는 앞으로 지켜봐야 할 사안입니다. 지금까지 봐선 꼼수로 단정 짓긴 이릅니다. 삼성은 준법위를 통해 과거를 반성하면서 시민단체 요구도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시민단체로선 불만족스러울 수 있지만 삼성도 나름대로 애쓰고 있는 겁니다.

우리 사회가 삼성의 과오를 비판하는 이유는 삼성이 법을 준수하고 기업 본분에 충실하길 바랐기 때문입니다. 삼성을 없애자는 게 아닙니다. 시민단체도 삼성이 법을 어기지 않도록 견제하는 역할에 전념해야 합니다. 삼성을 무너뜨리겠다는 행동은 공감대를 형성하기 힘듭니다. 일부 시민단체가 태도를 바꾸길 기대합니다.

저작권자 © 논객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