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이의 어원설설]

[오피니언타임스=동이]

마누라 아줌마 언니 아우...

실생활에서 흔히 쓰는 호칭이지만 애초의 쓰임과는 달리 사용돼 온 말들입니다.

일찍이 중전마마를 마누라라고 부를 정도로 ‘마누라’는 한때 극존칭어였습니다. 이후 지체높은 대감의 부인 등을 일컫다가 다시 범부의 아내로 내려옵니다. 근자들어선 존칭어라기보다 부인이나 아내, 집사람보다도 더 격이 낮은 언어로 자리매김됐습니다. 제3자 앞에서 자기의 부인을 낮추는 지경의 언어로 까지 ‘추락’(?)했으니까요.

말이 시대상을 반영한다지만 마누라란 표현만큼이나 ‘천당과 지옥을 오간 말’도 없지 않나 싶습니다.

비슷한 신세가 된 말이 ‘아줌마’. 아줌마는 본래 아주머니(앗+어머니), 즉 작은 어머니(작은 아버지의 부인)를 일컫던 존칭어입니다. 친족어로 불리던 아주머니가 아줌마로 축약되면서 동네 아낙까지 통칭하는 말로 진화하게 됩니다. 씨족사회에선 형동생 자매지간에다 삼촌 사촌까지 한동네에 살다시피했으니 '~아주머니'가 많을 수밖에 없습니다. 자연스럽게 아주머니>아줌마=중년여성이란 등식이 성립됐던 겁니다.

@오피니언타임스

그러면서 친족어를 넘어 일반 명사로 쓰임 폭이 넓어지고 중년여성 특유의 부정적 퍼스낼러티까지 가미된 용어로 굳어지기에 이릅니다. 요즘엔 비하적인 표현으로도 자주 쓰이죠.

자네라는 말 역시 격하된 표현입니다. 조선시대때 아내가 남편을 ‘자내(자네)’라고 한 기록(원이엄마 일기)이 있듯 동등 이상의 대우를 할 때 썼으나 이후 동등 또는 동등 이하 하대의 표현으로 바뀌게 됩니다. 이즈음엔 친구보다도 더 아래인 사람에게 많이 씁니다.

<관련내용 바로가기>

남녀에게 공히 쓰이던 표현이 여성지칭 전유어와 남성지칭 전유어로 된 사례도 있습니다. 언니, 아우가 대표적입니다.

‘빛나는 졸업장을 타신 언니께

꽃다발을 한아름 선사합니다

물려받은 책으로 공부를 하며

우리는 언니 뒤를 따르렵니다

잘있거라 아우들아 정든 교실아~’

졸업식 노랫말에 나온 ‘언니’는 남녀불문 호칭이었습니다. 언니에 대(對)되는 말이 아우이고...

“~~여러분! 우리는 이제 격심한 경쟁은 끝이 났으니 마음을 가라앉히고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 것이며 또한 우리는 무엇을 향하여 나아갈 것인가를 생각해야 되겠다....(중략) 부족하고 불편한 환경 속에서도 여러분의 언니들은 최고로 지향하는 대학의 시험장에서 6년 전의 승리자를 물리치기도 하였고 작년에 있었던 서울 시내 수십 고등학교의 학술경시대회에서 제2위를 차지한 것도 여러분의 언니들이었다...”

1960년 4월 9일자 ‘동성춘추’에 실린 당시 전창기 동성고 교장의 ‘새로 맞는 여러 학생에게’란 글입니다. 졸업식 노랫말에서처럼 남학교에서 선배의 의미로 언니를 썼습니다.

지금은 여자 동기간이나 여자 사이에서 손위인 경우 언니라는 호칭을 붙이나, 그 전에는 남녀 구분없이 ‘언니’라는 호칭을 사용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언니는 이제 여성지칭 전유어로, 아우는 남성지칭 전유어로 굳어졌습니다.

언니는?

웃누이가 음운변화를 거쳐 웃니,언니로 변화했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언니의 어원에 관한 학자들의 견해를 보면 유창돈(1954)은 [앗(始初)+니]로, 남광우(1957)는 [엇(始, 初, 小)+니]로 보고 있습니다. 모두 ‘언니’를 ‘처음’이라는 의미로 자기보다 나이가 위인 경우를 이르는 말이었다고 밝힙니다.

-언니:1)(기본의미) 같은 항렬의 자매(姉妹) 사이에서, 나이가 적은 쪽 여자가 나이가 많은 쪽 여자를 높여 가리키거나 부르는 말.(2)남남끼리인 여자 사이에서, 나이가 적은 쪽 여자가 나이가 많은 쪽 여자를 높여 가리키거나 다정히 부르는 말. (3)오빠의 아내를 가리키거나 부르는 말-

인터넷백과 사전검색에서 풀어놓은 언니의 뜻풀이를 봐도 남성을 뜻하는 내용은 없습니다. 남녀 구분없이 썼던 옛뜻의 절반이 사어화된 셈이죠. 불과 60년도 안돼 일어난 언어변이 현상입니다.

말이라는 게 시대흐름에 따라 뜻도, 지칭하는 대상도 빠르게 바뀌어 갑니다.

칼럼으로 세상을 바꾼다.
논객닷컴은 다양한 의견과 자유로운 논쟁이 오고가는 열린 광장입니다.
본 칼럼은 필자 개인 의견으로 본지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론(nongaek34567@daum.net)도 보장합니다.
저작권자 © 논객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