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의 내부거래 비중이 더욱 높아졌다.

비상장사나 총수 지분이 높은 계열사일수록 내부거래 비중이 높았다. 시스템통합(SI), 물류, 광고 등 총수 및 2세 등의 지분이 높은 계열사에 일감을 몰아주는 행태도 심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30일 발표한 대기업집단 내부거래 현황에 따르면 46개 대기업집단 매출액(1407조원) 가운데 계열사에 대한 매출액(186조원) 비중은 작년 말 기준 13.2%였다.

2010년 말(12.0%)보다 더 높아졌다.

비상장사(1136개)의 내부거래 비중은 24.5%로 상장사(237개ㆍ8.6%)의 세 배에 달했다. 비상장사의 내부거래 비중은 전년 말보다 1.9%포인트 높아졌다.

총수가 있는 대기업집단(38개)의 내부거래 비중은 13.6%로 총수가 없는 집단(8개)의 11.1%보다 더 높았다.

총수가 있는 집단 중 상위 10개 집단의 내부거래 비중은 14.5%로 전년 말(13.2%)보다 높아졌다. 내부거래 금액은 139조원으로 30조원이나 급증했다.

내부거래 비중이 높은 재벌은 STX(27.6%), SK(22.1%), 현대자동차(20.7%) 순이었다.

내부거래 금액이 많은 재벌은 삼성(35조원), SK(34조원), 현대차(32조원), LG(15조원), 포스코(14조9천억원) 순이었다.

이들 상위 5개 재벌의 내부거래 금액 합계는 132조원으로 전체 46개 재벌의 70.9%를 차지했다.

재벌 계열사 중 2세 지분율이 50% 이상인 경우 내부거래 비중은 56.3%에 달했다. 이들 계열사는 시스템통합(SI), 부동산, 광고대행, 물류 등 `일감 몰아주기' 행태로 비판받았던 업종에 많았다.

내부거래 때 수의계약으로 거래 상대방을 선정한 사례는 89.7%에 달했다. 특히 SI, 물류, 광고 등의 수의계약 비중은 91.8%에 달해 경쟁입찰 비중이 10%에도 못 미쳤다.
내부거래 때 대금결제 방식은 절반 이상(54.5%) 현금을 사용했다.

공정위 김성삼 기업집단과장은 "100% 출자, 수직계열화 등 부득이한 이유로 내부거래가 발생하기도 하지만, 일감 몰아주기 등 불합리한 거래 관행도 있다"고 지적했다.


ⓒ 오피니언타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칼럼으로 세상을 바꾼다.
논객닷컴은 다양한 의견과 자유로운 논쟁이 오고가는 열린 광장입니다.
본 칼럼은 필자 개인 의견으로 본지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론(nongaek34567@daum.net)도 보장합니다.
저작권자 © 논객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