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대출 규탄하는 기자회견@사진 금융정의연대 제공

 [논객 NGO=권혁찬]  청(소)년 작업대출, 내구제 대출...

온라인 상에서 버젓이 성행하는 불법 사기대출의 이름들입니다. 최근 몇년새 규제가 소홀한 틈을 타 ‘작업대출’ ‘내구제 대출’이라는 이름의 불법대출이 청년들에게 독버섯처럼 번지고 있습니다.

“대출요건이 되지 않는 청년들을 상대로 중간에 모집책과 브로커가 서류를 조작해 연결돼 있는 저축은행 및 대부업체 등을 통해 대출을 진행한다. 무직자를 근무하고 있는 것처럼 조작하거나 유령회사에 4대 보험을 가입시켜 근로상태로 위장한다”

금융정의연대 등 시민단체들이 온라인상에서 횡행하는 이들 불법대출로 피해보는 청(소)년들을 구제하기 위한 대책마련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이들 불법대출에 대한 관리・감독과 금융기관 대출심사를 강화해 불법 사기대출로부터 청년들을 보호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작업대출이란 대출요건을 갖추지 못한 청년들이 브로커들에게 의뢰해 재직증명원 등 서류를 조작해(작업해) 대출받는 방법이며,  내구제 대출은 ‘내가 나를 구제한다’는 뜻의 신조어로 휴대폰을 24개월 할부로 여러대 개통한 뒤 유심을 빼고 공기계를 되팔아 자금을 유통하는 방법 등을 말합니다.

이들 단체는 “불법대출 사기의 중간 브로커들은 50%가 넘는 수수료를 불법으로 떼어가며, 청년들은 대출받는 순간 피해자가 아니라 범죄자가 될 수 있어 모집책과 브로커들이 이를 악용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카카오톡이나 페이스북과 같이 청년들이 손쉽게 접하는 SNS상에서는 ‘작업대출’만 검색해도 수많은 불법대출이 뜨는 상황이다. 브로커들의 수법이 더욱 교묘해지고 전문화되고 있어 정부와 금융당국의 단속을 피해 계속 확대되고 있다”

이들 단체는 “경제적으로 어려운 환경에 놓인 청년들이 불법금융에 내몰리는 것은 개인의 탓이 아니라 청년들에게 주어지는 막대한 사회적비용 때문"이라며 "이를 방치하고 있는 정부기관의 책임이 크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럼에도 “금융당국이 불법대출을 제대로 단속・처벌하지 않고 ‘불법이니 알아서 조심해라’ ‘통신 채권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소관이다’라는 식의 행태로 방기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2018년 3월 금융감독원의 불법금융광고 적발현황 보도자료를 보면 ‘작업대출’의 경우 재작년 대비 작년 27.4% 증가되었음에도 특별한 대책을 내놓고 있지 못하고 있다. 최근 김정훈 국회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 받은 자료에 의하면 금융감독원의 불법사금융 피해예방 홍보 예산은 2012년 1억 3750만원이였으나 2017년 2920만원으로 대폭 줄어 금융피해, 사기, 범죄를 방치하고 있다”

가뜩이나 힘든 N포세대 청년들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는 불법대출.

당국이 소관업무가 아니라고 서로 핑퐁칠 일이 아니라 서둘러 규제에 나서야 할 때입니다.

<금융정의연대 논평 전문>

- 작업대출, 내구제대출 등 불법대출이 온라인상에서 버젓이 성행하는 것은 금융감독원의 큰 책임

- 경제적으로 어려운 청년들이 불법금융에 빠지지 않도록 금감원・정부 함께 예방대책 마련해야

1. 9월12일 오전 11시 금융감독원 정문 앞에서 청빚넷(금융정의연대, 사단법인 두루 법률지원팀, 빚쟁이유니온, 청년유니온, 청년연대은행 토닥, 청년지갑트레이닝센터, 광주청년지갑트레이닝센터, 부산 청년함께, 대구청빚넷), 심오한연구소, 광주청년유니온, 움직이는청소년센터EXIT, 청소년자립팸 이상한나라, 학생독립만세, 사회복지법인 함께걷는 아이들, 꿈꾸는 아이들의 학교, 참여연대 경제금융센터, 주빌리은행, 한국파산회생변호사회, 민변 민생경제위원회, 강보배, 강보배, 주현종, 서난이 전주시의원, 탁선형, 이현숙, 배진화, 이화성, 이선영, 김민주, 최일랑, 김은임, 김학준 공동으로 청(소)년 작업대출 내구제대출 금융범죄 방치하는 금융감독원 규탄기자회견을 개최했습니다.

2. 최근 몇 년 사이 ‘작업대출’  ‘내구제대출’ 등의 비정상적인 대출이 청년들에게 번지고 있습니다. 대출요건이 되지 않는 청년들을 상대로 중간에 모집책과 브로커가 서류를 조작하여, 연결되어 있는 저축은행 및 대부업체 등을 통해 대출을 진행합니다. 무직자를 근무하고 있는 것처럼 조작하거나 유령회사에 4대 보험 등을 가입시켜 근로상태로 위장합니다.

3. 이러한 대출사기의 가장 큰 문제점은 중간 브로커들이 50%가 넘는 수수료를 불법으로 떼어가는 것이며, 청년들이 돈이 필요해 대출을 받게 되면 피해자가 아니라 범죄자가 될 수 있어 모집책과 브로커들이 이를 악용한다는 점입니다. 심지어 카카오톡이나 페이스북과 같이 청년들이 손쉽게 접하는 SNS상에서는 ‘작업대출’만 검색해도 수많은 불법대출이 뜨는 상황입니다. 브로커들의 수법은 더욱 교묘해지고 전문화되고 있어 정부와 금융당국의 단속을 피해 계속 확대되고 있습니다.

4. 경제적으로 어려운 환경에 놓인 청년들이 불법금융에 내몰리는 것은 개인의 탓이 아니라 청년들에게 주어지는 막대한 사회적 비용 외에 이들이 금융에서 소외되기 때문이며 이를 방치하고 있는 정부기관의 책임이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금융당국이 불법대출을 제대로 단속・처벌하지 않고 ‘불법이니 알아서 조심해라’  ‘통신 채권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소관이다’라는 식의 행태를 보이며 책임을 방기하고 있습니다.

5. 2018년 3월 금융감독원의 불법금융광고 적발현황 보도자료를 살펴보면 ‘작업대출’의 경우 재작년 대비 작년 27.4% 증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특별한 대책을 내놓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한 최근 김정훈 국회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 받은 자료에 의하면 금융감독원의 불법사금융 피해예방 홍보예산은 2012년 1억 3750만원이였으나 2017년 2920만원으로 대폭 줄어 금융피해, 사기, 범죄를 방치하고 있습니다.

6. 이에 청빚넷(청년 빚 문제 해결을 위한 네트워크)을 비롯한 청년, 시민단체 개인들은 청(소)년 작업대출, 내구제대출 등 불법금융을 방치하고 있는 금융감독원을 규탄하며, 온라인상의 무분별한 광고를 단속 규제하고, 불법대출로 피해입은 청(소)년들을 구제하기 위한 대책마련을 촉구했습니다.

또한 불법금융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예방대책을 마련하며, 금융기관 대출 심사를 강화하여 작업대출 및 내구제대출로부터 청년들을 보호할 것 등을 요구했습니다.

칼럼으로 세상을 바꾼다.
논객닷컴은 다양한 의견과 자유로운 논쟁이 오고가는 열린 광장입니다.
본 칼럼은 필자 개인 의견으로 본지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론(nongaek34567@daum.net)도 보장합니다.
저작권자 © 논객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