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재욱 생명에세이]

지난해 12월 통계청 집계 기준으로 우리나라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은 16.6%였고, 2025년에는 20.6%로 증가해 노령인구가 인구 5명당 1명을 넘기는 초고령사회로 다가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100세 시대’를 맞이하며 빠르게 다가오고 있는 고령화는 속도에 문제가 있기도 하지만 더 중요한 문제는 나이든 노인을 대하는 우리 사회 인식의 변화입니다. 세상에 태어나 살아가는 삶의 여정에서 잠시도 머무르지 않으며 흐르는 세월에 따라 누구에게나 다가오는 ‘노화(老化)’는 자연의 순리이지만, 노화와 동반해 나타나는 정신적·신체적 능력 저하로 노인에게 주어지는 기회를 박탈하거나 배제하는 사회적 편견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나이에 연관된 말로 건강하고 아름답게 나이 드는 ‘웰에이징(Well-aging)’, 정보통신기술(ICT)을 잘 이용하며 나이 들어가는 ‘디지털 에이징(Digital aging)’과 함께 연령차별의 의미를 담은 ‘에이지즘(Ageism)’이란 말도 있습니다. 나이를 이유로 노인들을 차별하는 사회적 편견으로 ‘연령주의’ 또는 ‘연령 차별주의’로 불리는 ‘에이지즘(Ageism 또는 Agism)’은 1969년에 '노인학의 아버지'로 불렸던 노인의학 전문의인 로버트 버틀러(Robert Butler)가 제안한 용어로 노인과 노화과정에 대한 사회적 편견이 담긴 고정관념을 일컫는 말입니다.

사진 오피니언타임스 DB
사진 오피니언타임스 DB

노년기에 접어들며 일상에 대한 생각이 자기중심적으로 닫혀가고, 사회적 기여도도 현저히 낮아져 간다는 관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노화는 사회적 혐오를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나이든 노인들을 더럽고 둔하고 어리석은 사람으로 여기면서 혐오하는 젊은 세대의 선입견이기도 한 에이지즘을 ‘나이를 이유로 행해지는 선입견이나 편견 또는 차별’이라고 정의하며, 이를 ‘노인들의 건강에 해로운 험한 사회적 관행’이라고 비판한 바 있습니다.

사회적으로 노출되는 에이지즘이 암묵적으로도 생겨날 수 있다는 ‘암묵적 연령주의(Implicit ageism)’라는 말도 있는데, 이는 나이 듦에 대해 부정적인 이념과 감정을 표출하며 젊음에 대해 막연한 동경을 가지고 있는 의식의 부조화 상태를 지칭하는 말입니다.

100세 시대와 함께 우리 사회에 깊숙하게 자리하기 시작한 에이지즘은 어떻게 받아들이며 대응해야 할까요. 나이가 들어 고령에 접어들면 사회에 기여하는 활동이 크게 줄어들며 유발되는 존재 가치의 저하로 쓸모가 없는 사람으로 인식되는 차별 대우가 생겨나게 됩니다. 이러한 차별 인식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크지는 않더라도 무언가 사회에 기여하면서 가족이나 친지들에게 도움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활동 분야에 관심을 보여야 합니다.

나이가 들어가며 행동이 느려지고 겉모습이 추해져가는 노화를 자연 섭리로 받아들이며, 자신의 젊은 시절을 떠올려보면서 젊은 세대의 행태를 불손한 것으로 여기며 화를 내거나 야단치는 것을 자제하는 마음가짐도 필요합니다. 자신이 영원히 젊을 것으로 착각하며 노인을 혐오하는 편견을 가진 일부 젊은 세대들의 생각이 짧을 수도 있다는 사실도 마음에 담고 새겨야 할 과제입니다.

주변을 둘러보면 나이가 들어가면서도 자신의 '쓸모 있음'을 사회적으로 인정받고 싶어 하는 시니어(Senior)들도 많습니다. 고령화사회를 맞이하며 노인을 막연한 부양 대상으로만 여기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며, 노인도 사회 구성원의 일원으로 공존하며 그들이 지니고 있는 경륜을 발휘하며 지낼 수 있는 사회적인 배려와 그를 위한 정책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초고령사회가 바로 앞으로 다가와 있는 ‘지금’이 바로 에이지즘의 실질적인 해법을 논의해 대안을 마련할 때라는 생각이 듭니다.

노화로 나타나는 정신적, 육체적, 사회적 모습의 변화는 개인에게 간직되어 있는 유전적 요인과 일상에서 접하는 환경적인 요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도 있기 때문에 노년기에 접어든 사람들을 함께 묶어 추함, 실패, 경멸 등의 이미지를 담아 접하는 것은 잘못된 사회 인식입니다. 에이지즘의 개선과 배척을 위해서는 노화에 대해 정치가, 기업인, 관료들은 물론 일반 대중과 젊은 세대도 에이지즘이 고령화사회의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제대로 인식하고 대응해야 합니다.

​디지털 시대를 맞이하며 나이가 들어서도 무언가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고 효용성 있는 사람으로 인정을 받기 위해서는 일상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활용되고 있는 정보통신기술(ICT)에도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이는 ICT에 대한 무관심이 어느 순간 디지털 문맹으로 다가와 에이지즘 대상 낙오자로 전락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자신이 건강하다고 생각하며 지내야 몸과 마음이 건강해질 수 있지만, 기대수명의 연장으로 살아가야 할 날들이 늘어나는 데 비해 자신이 건강하지 못하다고 생각하며 지내는 사람이 늘고 있습니다. 고령에 진입하고 있는 ‘나’를 젊었던 시절의 ‘나’와 비교하며 지내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 될 수 있습니다. 새로 맞이해 지내고 있는 계묘년, ‘에이지즘’에서 벗어나 ‘100세 시대’에 어우러지는 '새로운 나'를 찾아 아름답고 행복하게 지내고픈 마음을 가다듬어봅니다.

#이 칼럼은 오피니언타임스와 자유칼럼 그룹간의 전재 협약에 따라 게시된 글입니다.

칼럼으로 세상을 바꾼다.
논객닷컴은 다양한 의견과 자유로운 논쟁이 오고가는 열린 광장입니다.
본 칼럼은 필자 개인 의견으로 본지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론(nongaek34567@daum.net)도 보장합니다.
저작권자 © 논객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