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생활을 나름 누구보다 재미있고 힘차게 하고 있다고 자부하는 편이지만, 월요일 아침 출근길의 몸과 마음은 마냥 가볍지는 않다. 주말 아이를 데리고 메트로폴리스를 횡단하느라 피로가 가중되었고, 이번 주 해야 할 일(미팅, 보고, 결재 등)들이 머리에 스친다. 대부분의 직장인이 비슷하지 않을까. 

<농담과 그림자>의 저자 김민영 작가는 출근길을 “적당한 피로와 절반 정도의 무기력과 나머지 절반 정도의 활기”로 표현한 바 있다. 피로, 무기력, 활기의 비중을 잘 조절하는 것이 긴요할 터이다. 

버스에서 내려 회사로 향하던 중 횡단보도 앞에서 어찌 보면 평범한, 근데 또 적이 희유(稀有)하면서도 특별한 문장과 마주했다. 문구가 부착된 위치도 평범치 않았다. 빨간불이라서 걸음을 멈추고 시선을 아래로 두지 않았으면, 그냥 지나쳤을 여섯 글자였다. 

“지나갈 일이야.“ 

출근길 마주했던 문구 © 석혜탁 촬영 
출근길 마주했던 문구 © 석혜탁 촬영 

신호등 옆에서 “지나갈 일이야”라는 위로를 받게 되다니. 끼고 있던 이어폰을 빼고, 초록불로 바뀌기 전까지 한참 동안 육 음절의 메시지를 들여다봤다. 그리고 웃음을 안고 길을 건넜다. 괜히 힘이 더 나는 것 같았다. 

두 나라(한국과 일본)의 이름을 갖고 있는 작가 손힘찬(오가타 마리토)은 그의 책 <오늘은 이만 좀 쉴게요>에서 이렇게 말한다. 

“이렇듯 지금 당장 웃을 수 있는 일은 주변에 널려있다. 고작 그런 것으로 행복할 수 있느냐고 묻는다면 나는 되물어 보고 싶다. 이렇게 소소한 행복도 느낄 수 없는데, 어떻게 큰 행복을 느낄 수 있느냐고 말이다.” 

다시 김민영 작가의 말을 빌려보자. 그는 '매일매일 견고하게 반복되고 있을 아침의 개별성과 동시성'에 대해 이야기한 바 있다. “지나갈 일이야.” 이 문구로 필자는 출근길이라는 ‘동시성’ 속에서 따뜻한 ‘개별성’을 획득했다.  

이 문구 덕에 한 주를 잘 끝낼 수 있었다. 각기 다른 무게의 고민을 안고 출근을 하는 직장인 동지들에게 이 말을 돌려주고 싶다.  

“지나갈 일이야.” 

sbizconomy@daum.net

칼럼으로 세상을 바꾼다.
논객닷컴은 다양한 의견과 자유로운 논쟁이 오고가는 열린 광장입니다.
본 칼럼은 필자 개인 의견으로 본지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론(nongaek34567@daum.net)도 보장합니다.
저작권자 © 논객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