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중부실자산비율 , 작년 3분기 0.81% 최고 ...고정이하비율도 최상위
부실자산 급증은 매각가 하락요인 작용…연내 매각 성사되지 않을 수도

매물로 나와 있는 롯데손해보험이 대체투자 자산에서 큰 손실이 발생한 등의 원인으로 자산 부실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된  탓에 몸값이 떨어지면서 연내 매각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12일 금융당국과 보험업계에 따르면 롯데손해보험은 가중부실자산비율에서 손보업계의 최고를 기록했다. 지난 해 3분기 기준 0.81%로 업계 평균 0.15%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같은 기간 하나생명이 0.66%로 뒤를 이었고 MG손해보험(0.37%), 흥국생명(0.22%), IBK연금보험(0.22%) 순이었다.

롯데손보의 부실자산비율은 급증세다. 지난해 1분기 0.47%에 그쳤으나 2분기 0.54%, 3분기 0.81%로 가파르게 상승했다. 지난 2022년에도 0.26~0.37% 수준으로 대폭 상승했다. 또 다른 자산 건전성 지표인 고정이햐 여신비율 역시 업계 최고수준이다.

롯데손보의 운용자산 부실화 정도는 업계 최고수준이다. 가중부실자산비율이 그만큼 높은 상태다. 총자산에서 가치가 하락하거나 매각이 어려운 자산 부실자신이 그만큼 많다는 뜻이다. 롯데손보는 자산건전성악화로 투자나 대출 등 자산운용에서 큰 제약을 받게된다.

롯데손해보험. (사진=연합뉴스)
롯데손해보험. (사진=연합뉴스)

이에 따라 신용평가사들은 롯데손보의 부실자산 급증이 신용등급 하락과 유동성 위기를 초래하고 매각가치를 떨어뜨리는 요인이라는 점에서 자산건전성 추이를 주시하고 있다.

3개월 이상 연체돼 부실채권으로 분류되는 고정이하여신비율 역시 지난해 3분기 기준 3.11%로 국내 생명·손해 보험사 중에서 가장 높다. 롯데손해보험의 고정 이하 비율은 지난해 1분기 2.15%, 2분기 2.22%, 3분기 3.11%로 지속적으로 상승했다. 지난 2022년만 하더라도 0.29%~0.89% 수준에 그쳤다.

롯데손해보험의 부실자산이 늘어난 것과 관련해 업계에선 대체투자 자산 손실에 따른 것으로 분석했다. 롯데손해보험은 업계 평균보다 현금 등 안전자산 비중이 낮은 대신 대체투자 비중이 높은 것으로 파악된다. 대체투자는 전통적인 투자 대상인 주식, 채권, 예적금 등이 아닌 모든 투자방식을 포괄하는 뜻인데 고위험, 고수익이 특성이다.

금융감독원 금융통계 정보시스템에 따르면 롯데손보의 지난해 3분기 기준 수익증권 보유액은 4조694억 6600만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2020년 말과 비교하면 8719억 원이나 줄어든 규모다.

한국신용평가는 “롯데손해보험은 투자손익의 높은 변동성과 실물경기 침체, 금융시장 변동성 지속에 따른 건전성 및 수익률 저하 압력이 지속될 전망”이라며 “롯데손해보험의 해외, 중·후순위 투자 비중이 높은 편으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다만 한신평은 롯데손해보험의 해외 부동산 수익증권 투자의 경우 입지가 우수하고 우량한 임대차 계약조건 및 임차인을 보유한 부동산 위주로 투자 중이라고 파악했다. 아울러 자산 리밸런싱 추진 성과와 실물경기 침체, 금융시장 변동성 지속에 따른 수익성과 건전성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롯데손보 측은 이에 대해 일부 자산건전성 지표에 적신호가 오른 것은 실제 부실의 영향은 아니고 일부 자산들에 대해 선제적으로 평가손실을 반영한 결과라고 설명한다. 해당 자산 매각 등이 마무리되는 올 상반기 이후 자산건전성관련 지표는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자산건전성 악화는 부실이 많아진다는 점에서 매각가 결정에 결코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는다. 그동안 시장에서 롯데그룹이 대주주였던 시절 투자한 부실자산에 대한 의구심이 꾸준히 제기돼 오던 터에 사모펀드(PEF)인 JKL파트너스가 인수한 후에도 부실화는 계속 진전되고 있어 매각가 결정에 부정적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롯데손보가 부실요인을 최대한 제거해 수익성 제고로 제값을 받겠다는 입장이지만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고평가 논란 속에 원매자는 부실자산의 급증을 이유로 들어 값을 후려칠 가능성이 높다. 더욱이 시장에는 현재 롯데손보 말고도 △KDB생명 △ABL생명 △MG손해보험 등이 매물로 나와 있어 원매자가 롯데손보에 목을 맬 상황도 아니다.

매각가를 둘러싼 매매 당사자간의 협상이 쉽게 타결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이로인해 롯데손보의 M&A는 단기간에 성사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며 연내 매각도 어려울 수도 있다는 시각도 없지 않다. 물론 롯데손보는 다른 매물 손보사에 비해 자산 규모가 크고 가입자 수도 많은 것은 매력 포인트임에 틀림없다. 

최근 롯데손보가 항공기 등 대체투자 포트폴리오를 대거 축소하기 시작한 것도 인수매력을 높여  몸값을 제대로 평가받기위한 작업으로 보인다. 

부실자산 말고도 몸값의 하방을 압박하는 요인은 곳곳에서 발견된다. 롯데손보의 영업이익률이 개선되고는 있지만 오는 8월이면 롯데그룹과 맺은 '롯데' 브랜드 사용 기간이 만료된다는 것은 몸값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보험업계는 롯데손보는 롯데 브랜드와 롯데그룹 퇴직연금 몰아주기 등에 힘입어 성장 가도를 달려왔으나 롯데 브랜드가 빠지면 '속 빈 강정'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매도자는 '롯데' 브랜드 프리미엄이 떨어지기 전에 매각하고 싶겠지만 매수자 입장은 반대다. 롯데 브랜드 여부가 확정되기까지는 매각협상이 이뤄지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이다.

현재 시장에서는 롯데손보 매각가로 거론되는 '2조'는 과도하다는 평가가 나오는 것도 이런 요인들과 무관치 않다.  장기보장성 보험 비중이 높아져 수익성이 개선된 건 맞지만 롯데그룹 퇴직연금 비중이 높다는 점이 걸림돌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롯데손보가 흑자로 돌아선 것은 맞지만, 최근 수년 간은 실적이 부진한 것을 감안할 때 2조는 높은 가격"이라며 "회사평가가 부풀려 되어있다면, 결국엔 자연스럽게 해소될 것"이라고 말했다.

칼럼으로 세상을 바꾼다.
논객닷컴은 다양한 의견과 자유로운 논쟁이 오고가는 열린 광장입니다.
본 칼럼은 필자 개인 의견으로 본지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론(nongaek34567@daum.net)도 보장합니다.
저작권자 © 논객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