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물가 1개월 만에 다시 3%대로 뛰어 …농산물이 물가폭등 주도
과일값 32년여 만에 최대 상승, 사과 71.0%, 귤 78.1% 배 61.1%↑
국제 원자재값 안하에도 제품 값은 요지부동이어서 고물가 부채질

[논객닷컴= 이서문 기자] 사과 한 개에 1만원. 물가폭등으로 서민들의 시름이 깊은 현실을 단적으로 말해준다. 민생이 도탄지경에 이르렀으나 물가당국이 물가관리에 손을 놓았는지 물가 급등세는 지속되고 있다.

특히 심각한 것은 물가의 하방경직성 때문이지 원자재 값이 내려 인하요인이 발생했는데도 해당 상품의 물가는 큰 폭으로 오른선에서 꿈쩍도 않고 있어 서민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소비자물가가 다시 3%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통계청이 6일 발표한 ‘2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3.77(2020=100)로 1년 전보다 3.1% 올랐다. 지난해 8∼12월 3%를 웃돌다 올해 1월(2.8%)에 2%대로 떨어진 소비자물가가 다시 한 달 만에 다시 3%대로 올라섰다.

재래시장 판매대에 놓인 과일 값이 너무 올라 서민들이 쉽게 구매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사진= 연합뉴스)
재래시장 판매대에 놓인 과일 값이 너무 올라 서민들이 쉽게 구매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사진= 연합뉴스)

공미숙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석유류·과실 등이 많이 오른 영향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다시 3%로 올라섰다”고 말했다.

농산물이 물가급등을 주도했다. 사과는 71.0%, 귤 78.1%, 배 61.1%에 이르는 폭등세를 보였다. 주요 과실 가격이 큰 폭으로 뛴 등 농산물이 20.9% 올라 전체 물가를 0.80%포인트 끌어올렸다. 국제유가가 오르면서 석유류가 하락 폭도 축소돼 전체 물가를 끌어올리는 역할을 했다. 지난달 석유류의 전체 물가 기여도는 1월 -0.21%포인트에서 -0.06%포인트로 줄었다..

신선 채소·과실 등 가격변동이 큰 55개 품목으로 작성하는 신선식품지수는 신선과실이 41.2% 오른 영향으로 20.0% 상승했다. 신선과일은 1991년 9월 43.9% 오른 뒤 32년 5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 폭을 보였다. 신선채소도 12.3% 올라, 지난해 3월 13.9% 오른 뒤 11개월 만에 상승 폭이 가장 컸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3.7% 상승했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 기준)는 2.5% 올라 전달과 오름폭이 같았다.

그런데 국제 원자재 가격은 하락세인데 치솟은 밀가루·식용유 값은 요지부동이어서 고물가를 고착시키고 있다.

밀가루 원재료인 소맥과 식용유 원재료인 대두유의 수입 가격이 계속해서 하락세인데도 제품 가격에 거의 반영되진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날 소비자단체협의회가 낸 보도자료를 보면 “소맥과 대두유 가격이 2022년 대비 2023년에 뚜렷하게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음에도 이를 가공해 제품을 제조하는 밀가루와 식용유 가격에 적절히 반영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자료에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치솟았던 국제 곡물 가격은 하향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밀가루 원재료가 되는 소맥분(1kg 기준) 수입 가격은 2022년 3분기 623.2원으로 고점을 찍은 뒤 지난해 1분기부터 본격적으로 하락하기 시작해 3분기에는 472.4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에 견줘 24.2% 하락했고, 4분기에는 435.1원으로 31.0%나 떨어졌다. 지난해 3분기 가격은 2022년 1분기(497.8원)보다 더 낮다.

식용유의 주재료인 대두유(1.8ℓ) 수입 가격 역시 지난 2022년 3분기 4394.3원을 정점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지난해 3분기에는 2698.8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과 견줘 38.6% 하락하고 4분기 가격(2888.6원)도 전년 동기 대비 28.7% 떨어져 지난 2022년 1분기(2952.1원) 수준이다.

하지만 이들 원재료를 사용하는 제품의 출고가나 소비자가격은 내리지 않고 있다. CJ제일제당과 대한제분 등의 밀가루 출고가는 지난해 대폭 올랐고 소비자 가격 역시 지난해 1분기에 24.1%, 2분기 10.8% 상승한 상태에서 그대로다. 지난해 밀가루 소비자 가격 상승률은 2022년에 견줘 7.9%에 달했다.

식용유 출고가·소비자가 역시 비슷했다. CJ제일제당과 사조해표의 출고가는 2023년 1분기엔 전년 동기 대비 29.5%, 2분기엔 15.7%, 3분기엔 1.4% 꾸준히 상승해 2023년 평균 14.9% 올랐다. 소비자 가격은 2023년 3분기와 4분기 원재룟값이 각각 38.6%, 28.7% 내릴 때 0.3%와 3.8% 내리는 데 그쳤다.

협의회는 “지난해 가공식품 물가는 6.8%, 외식물가는 6.0% 각각 상승했는데, 이는 소비자물가상승률 3.6%의 두배에 육박한다”며 “최근 주요 식품 기업의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도에 견줘 월등한 것은 원재료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한 탓이므로 하루빨리 출고가와 소비자를 내려 소비자의 부담을 덜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칼럼으로 세상을 바꾼다.
논객닷컴은 다양한 의견과 자유로운 논쟁이 오고가는 열린 광장입니다.
본 칼럼은 필자 개인 의견으로 본지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론(nongaek34567@daum.net)도 보장합니다.
저작권자 © 논객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