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객닷컴= 이서문 기자] 전국퇴직금융인협회(회장 안기천)는 우리 국민의 경제이해력 점수가 낙제점 수준에 머물고 있다며 대책으로 부실한 경제·금융교육을 전문가에 맡길 것을 제안했다. 이 협회 부설 금융시장연구원은 18일 내놓은 ’금융브리핑 2024-4호’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기획재정부 의뢰로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지난해 9~11월 18세 이상 3천 명을 대상으로 '2023년 전 국민 경제이해력'(Economic Literacy) 평가에서 우리 국민의 경제이해력 점수가 58.7점으로 지난 2021년 조사 때보다 2.4점 올랐으나 여전히 60점에 못미친 과락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금융 분야에 대한 이해도가 취약했다. 주제별로는 ‘기준금리 파급효과’ 항목이 35.3%로 가장 낮았다. 이어 정기예금(37.1%), 근로계약(43.3%), 온라인 거래(48.8%), 세금(49.3%) 순으로 이해도가 떨어졌다. 수요·공급 원리(79.2%), 재무관리(71.4%), 자산(69.4%), 연금(68.2%) 등은 그나마 이해력이 높은 편이었다.

금융시장연구원은 이에 따라 국민의 경제이해력 향상을 위한 학교 밖 교육 콘텐츠의 양적·질적 보강이 긴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금융·부동산 사기 등 경제범죄가 판을 치는 상황에서 합리적 의사결정을 위한 경제 및 금융 역량 배양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국민들의 이해도가 취약한 금융분야의 경우 기준금리, 정기예금 등의 주제에 대해서는 기본원리와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하는 콘텐츠 제작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연구원은 이어 이미 다양한 금융교육이 실시되고 있으나 이를 알지 못해 교육을 받지 못하는 현실이라며 경제·금융교육의 기반이 되는 온·오프라인 프로그램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것을 주문했다. 이를 위해 경제·금융교육을 널리 홍보, 국민의 관심도를 제고시켜야 한다고 조언했다.

연구원의 금융브리핑 보고서는 경제나 금융은 전문 영역으로 교육은 전문가에 맡겨야 한다며 정부가 교육 실행의 주체로 전면에 나서면 득보다 실이 클 수 있다는 점을 경계했다.

(자료=KDI)
(자료=KDI)

금융시장연구원 권의종 박사는 “어디까지나 행정은 행정이고 교육은 교육이다”며 “운동경기에서 감독이 선수로 뛸 수 없다”는 점을 비유로 들었다. 정부는 교육 정책을 기획하고 사업을 관리하며 예산을 후원하는 조력자 역할에 그쳐야 함을 강조한 것이다.

협회는 경제교육 전문인력이 부족하면 금융회사나 민간기업의 퇴직자를 활용하면 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협회 안기천 회장은 “전국퇴직금융인협회가 양성한 금융해설사만 해도 1천 명에 이른다. 석박사는 물론 경영지도사, 재무분석사, 경제·금융 컨설턴트 등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전문가들로 구성돼 있다. 이들은 지금도 1사(社) 1교(校) 금융교육, 청년 경제아카데미, 자영업자·소상공인 맨토링, 금융취약자층 경제교육의 일익을 맡고 있다”고 설명했다.

칼럼으로 세상을 바꾼다.
논객닷컴은 다양한 의견과 자유로운 논쟁이 오고가는 열린 광장입니다.
본 칼럼은 필자 개인 의견으로 본지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론(nongaek34567@daum.net)도 보장합니다.
저작권자 © 논객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