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포괄적 주식 교환 방식 이사회 의결 예정
네이버파이낸셜·두나무 교환 비율 1대 3 유력
국내 1위 핀테크 기업-세계 3위 거래소의 결합
원화 스테이블 코인, 해외 진출 등 시너지 기대
27일 기자회견서 양사간 합병 로드맵 공개할 듯
국내 대표 포털기업 네이버와 국내 최대 가상자산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가 한 식구가 된다. 네이버 핀테크 자회사인 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는 26일 포괄적 주식 교환 방식으로 합병을 공식화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 1위 핀테크 기업과 세계 3위 가상자산 거래소의 이번 '초대형 빅딜'은 국내 디지털 산업에 지각변동을 몰고올 전망이다.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는 이날 수도권 모처에서 각각 이사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네이버파이낸셜 모기업인 네이버도 이날 이사회를 열고 합병안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는 양사 간 포괄적 주식 교환 비율을 심의한 뒤 이를 의결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이 이사회에서 두나무와 합병 계획안을 설명하고 결의도 다질 것으로 보인다.
의결된 내용은 이날 오후 공시를 통해 공개될 예정이다.
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의 주식 교환 비율은 1대 3이 유력하게 점쳐지고 있다. 두나무 1주를 네이버파이낸셜 3주로 교환하는 방식이다.
합병이 진행되려면 이사회 의결 이후 주주총회 특별결의가 이뤄져야 한다. 출석 주주의 3분의 2 이상, 발행주식 총수의 3분의 1 이상의 동의가 필요하다.
이번 포괄적 주식 교환 방식을 통한 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 간 합병안이 확정될 경우 네이버파이낸셜은 두나무를 100% 자회사로 편입하게 된다. 두나무는 네이버의 손자회사가 된다.
다만 이 교환으로 송치형 두나무 회장은 네이버파이낸셜 최대 주주로 오른다.
포괄적 주식 교환은 한 회사가 상대방 회사의 모든 주식을 취득하고 그 대가로 모회사가 될 회사의 주식을 넘겨주는 것으로, 흡수되는 회사는 완전 자회사로 남게 된다.
이번 빅딜은 국내 IT·핀테크 업계 역사상 가장 손꼽히는 대형 거래 중 하나로 꼽힌다. 이날 오후 발표될 주식 교환 비율, 두 회사의 결합 목적 및 계획 등 양사간 합병안에 어떤 내용이 담길지 주목된다.
네이버파이낸셜은 연간 80조원의 결제 규모를 확보한 국내 1위 핀테크 기업이며, 업비트는 국내 1위이자 글로벌 3위 가상자산거래소다.
이번 빅딜이 완료되면 네이버와 네이버파이낸셜, 두나무는 원화 스테이블 코인 사업에 함께 진출할 것으로 관측된다.
국내 최고 수준의 블록체인 기술을 보유한 두나무가 발행한 원화 스테이블 코인을 네이버 페이 기반 간편결제망에 올리고, 이커머스 양강 구도를 구축한 네이버와 시너지까지 결합한다면 유망한 원화 스테이블 코인 생태계 구축이 가능하다.
미래에셋증권이 발표한 보고서를 보면 네이버와 업비트의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이 현실화될 경우 해당 스테이블코인 사업은 2030년 연간 3000억원 규모의 수익 창출이 가능한 사업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오는 2035년에는 1조원의 공동 매출액을 올릴 것으로 전망되며, 네이버에는 5000억원 수준의 매출 기여가 있을 것이란 분석이다.
두나무 입장에선 규제 리스크 부담도 크게 낮출 수 있다. 스테이블코인 등 신사업 추진을 위해선 금융당국과의 긴밀한 조율이 필요한데, 제도권 기업으로 오랜 기간 인정받은 네이버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한편, 양사는 이사회 의결 시 다음 날인 27일 오전 경기 성남시 네이버 사옥 1784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합병 이후 구체적인 비전과 로드맵을 밝힐 계획이다.
본 칼럼은 필자 개인 의견으로 본지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론(nongaek34567@daum.net)도 보장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