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금속노조, 포스코 본사 앞서 기자회견 개최
2016년부터 사망자 57명 중 50명 하청·외주 등 소속
"죽음의 외주화 유지하는 한 안전대책 작동될 수 없어"
"모든 노동자 직접 고용…안전 위한 투자 계획 내놔야"

민주노총 포항지부와 금속노조 포항지부는 24일 포스코 본사 앞에서 '포스코 죽음의 외주화  규탄' 기자회견을 열었다. (사진=전국금속노동조합)
민주노총 포항지부와 금속노조 포항지부는 24일 포스코 본사 앞에서 '포스코 죽음의 외주화  규탄' 기자회견을 열었다. (사진=전국금속노동조합)

노동계가 중대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포스코를 향해 전면적인 안전 대책과 직접고용 전환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포스코의 불법파견과 죽음의 외주화가 만든 구조적 참사를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된다는 주장이다. 

민주노총 포항지부와 금속노조 포항지부는 24일 포스코 본사 앞에서 '포스코 죽음의 외주화 규탄' 기자회견을 열었다. 

노조에 따르면 지난 20일 포스코 포항제철소 STS4제강공장에서 실외 버큠카 청소 작업을 하던 중 일산화탄소(CO)에 의한 질식 중대재해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50대 용역업체 직원 2명과 현장에 있던 40대 포스코 직원 1명이 작업 중 발생한 유해가스를 마셔 중태에 빠졌다. 포스코 소방대 방재팀원 3명도 구조 작업 중 유해가스를 마셔 경미한 부상을 당했다.

노조는 "사고 위치가 평소 가스가 나오지 않는 구간이었으나, 피트 하부 또는 노후 배관을 통한 가스 유입 가능성이 있는 장소였다"며 "그럼에도 가스 측정 장비 미지급, 환기조치 없음, 보호구 착용지침 부재 등 산업안전보건법상 최소한의 안전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다"고 주장했다.

또한 "사고 당일 노동자들은 1·2전로가 모두 셧다운 상태라고 알고 있었으나, 실제로는 1전로가 가동된 정황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며 "평소 TBM을 통해 설비 가동 정보를 전달하던 포스코의 안내도 없었다"고 했다.

노조는 "포스코가 제조업 직접생산공정에서 파견을 금지한 「파견근로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5조를 위반한 채, 수십 년간 도급·하청 구조를 운영해 왔다"며 "이번 사고는 불법파견이라는 포스코의 구조적 불법이 만들어낸 예고된 참사"고 비판했다. 

노조에 따르면 지난 2016년부터 최근까지 포스코 사업장에서 발생한 54건의 주요 인명 사고로 57명이 숨지고 32명이 다쳤다. 

사망자 중 7명이 포스코 소속이었고, 나머지 50명(88%)은 하청·외주·계열사 소속이었다. 특히 2016년 사망자 12명, 2018년 7명, 2022년 5명, 2025년 5명 모두 하청노동자였다.

이와 관련해 노조는 "포스코가 가동하는 설비에서 작업하는 하청노동자의 사망은 불법파견과 외주화의 결과임을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올해만 해도 지난 3월 21일 포항제철소 냉연공장에서 포스코 자회자인 포스코PR테크 직원 이 수리 작업 중 설비에 끼여 숨졌다. 

지난 7월 14일에는 광양제철소에서 배관 철거작업 중 작업자 2명이 추락해 1명이 숨지고 1명이 다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노조는 "STS4제강 질식사고의 모든 정보를 공개하고, 민주노총·금속노조 추천 전문가가 참여하는 독립 조사단을 구성해 원인을 규명해야 한다"며 "중대재해처벌법·산업안전보건법상 의무를 위반한 책임자를 철저히 조사·처벌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제조업에서 금지된 불법파견을 즉시 중단하고, 포스코 내 모든 노동자를 직접 고용하라"며 "노후 설비·배관 등 위험 설비 전면 진단 및 개선을 위한 구체적 투자 계획을 즉각 발표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칼럼으로 세상을 바꾼다.
논객닷컴은 다양한 의견과 자유로운 논쟁이 오고가는 열린 광장입니다.
본 칼럼은 필자 개인 의견으로 본지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론(nongaek34567@daum.net)도 보장합니다.
저작권자 © 논객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